ADVERTISEMENT

소련의 인도양 전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이 「파키스탄」 접경으로까지 확대되고 인도에서는 과거 친소주의자였던 「인디라·간디」 수상이 재집권함에 따라 「페르시아」만의 위기는 인도양으로 번질 기미를 드러냈다,
「파키스탄」은「아프가니스탄」의 바로 남방에 위치한 나라로 소련이 만약 이 지역의 일부 연안이라도 영구 점령한다고 가정할 때 「크렘린」의 오랜 숙망이던 부동항 확보의 꿈은 마침내 실현되는 것이다.
소련의 인도양 연안 기지화는 서방측 석유수송로의 안전에 치명적인 타격을 안겨줄 것이다.
1979년도 미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핼로웨이」 제독이 증언한 바에 따르면 소련의 이 지역 기지화는 미국의 「디에고·가르시아」도 기지가 충분히 상쇄할 수 없는 막대한 손실을 서방측에 안겨준다는 것이다.
소련은 이미 북아의 「이디오피아」와 「아덴」항에 촉수를 뻗치고 있어 이제 「파키스탄」 해안으로의 회랑만 뚫어놓으면 소련은 언제든지 인도양·「페르시아」만의 석유수송로와 유전지대에 군사적 압박을 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서남아 지역으로의 군사력 집결은 바로 이 같은 인도양 전략을 목표로 하고 있음이 거의 확실하고, 소련군의 작전 양상도 그러한 관측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현지로부터 들어오는 서방측 외교 소식통의 정보에 의하면 소련군의 주력부대는 「이란」 및 「파키스탄」 방면 남행도로의 장애물 제거에 투입돼 있다는 소식이고, 반정부 「게릴라」 진압에는 1차적으론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을 내세우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한다.
이러한 작전 양상은 곧 소련의 주된 목표가 인도양으로의 진출이라는 보다 원대한 목표에 두어지고 있다는 관측을 더 한층 굳혀주는 것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군사적 진출과 병행해서 소련은 인도양 연안에 대한 정치적 침투공작에도 이미 착수했다는 보도다.
중동의 한 정보전문지에 의하면 「아프가니스탄」에서 「아라비아」해에 이르는 「바르치스탄」지역에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등 3국의 공산세력으로 구성되는 「바르치스탄」전선이란 조직이 태동해 있다는 것이다.
소련은 이미 중근동 기존 회교세력과 반목하고 있는 좌경 소수민족의 조직화를 통해 중동 친소세력의 구축에 착수하고 있는 셈이다.
사태를 이러한 각도에서 관찰할 때 소련의 행동은 전형적인 혁명수출방식과 동구식 적화방식을 배합한 신판 확장주의라 규정지을 수 있는 것이다.
소련의 무력개입 방침은 종전까지만 해도 동구권 「안」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됐으나 이제 그 팽창주의는 기왕에 양해되었던 세력권의 「밖」으로까지 예봉을 드러내기에 이르렀다.
소련의 이러한 태도는 분명 한동안 구가되던 미·소 「데탕트」의 신화와 미국의 안일한 신고립주의를 무색하게 만들기에 족한 것이다.
미국은 과연 이 팽창주의를 어떤 대책으로 대처하려하는가. 「카터」 행정부의 단호한 대소전략 천명이 기다려지는 시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