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술회의 주제발표 요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황명찬박사(국토개발연구원 연구위원)는 매년 30만명씩 늘어난 서울인구가 8백만명에 육박, 전국인구의 21%를 점하고 기업본사의 62%가 서울에 집중하여 서울은 안보의 취약성·지역간 격차·환경오염·주택과 교통난등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고 지적, 현실적인 수도권의 개발·조정전략을 세워야한다고 주장했다.
황박사는 ①현재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는 공업분산경향 ②서울시의 강력한 성장관성 ③5대거점도시와 동남해안공업지역등의 개발속도와 이들지역의 인구흡수능력 ④인구억제의 한계성을 감안하여 타협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된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은 오는91년에 인구가 약9백10만명 정도로 예상돼 늘어나는 수도권인구를 5대거점도시·동남해안 공업도시·행정수도·반월공단도시등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서울시내 재개발지역의 과밀통제·서울시내사무실개설 증설의 허가제·지방도시와 신공업지역의 개발속도의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영국 「래딩」대 계획대학원원장 「피터·흘」박사는 수도권인구분산책으로 수도권외곽에 위성도시를 건설하여 소규모 산업을 유치함과 아울러 지성의식능력을 길러줄수 있도록 교육·후생등에 관한 집중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지역개밭연구소(명고옥소재) 소장 「혼죠· 마사히꼬」(본성화언)박사는 일본의 도시화과정의 특징을 소개하면서 일본의 대도시에서 공업활동의 급격한 감소로 2, 3차산업인구 감소현상이 나타나고 일본의 3대도시 동경·대판·명고옥 등지의 인구집중현상은 계속되고 있으며 수도인 동경에로의 집중현상은 정부의 분산노력에도 룰구하고 현저하게 나타나 서울과 비슷한 문제점이 되고있다고 밝혔다.
그는 동경이 정부와 사기업이 밀접한 관련을 갖는 중추관리기능을 하고있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이같은 기능의 재조정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