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장 '철거' '보수' 오락가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전주시가 경륜장 개보수를 둘러싸고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여 행정의 일관성을 잃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전주시는 최근 전북도가 경륜장 보수비용을 전액 지원할 경우 ‘노후화 시설 철거’라는 기존 방침을 바꿀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시는 그동안 경륜장이 건립된 지 10년 이상 된 데다 재해위험시설로 판정을 받을 정도로 낡아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보수 불가 주장을 펼쳐왔다.

또 선수 30여명의 연습과 어쩌다 한번 치르는 전국체전을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철거하거나 매각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시의 추산에 따르면 경륜장을 개보수해 사용할 경우 22억원의 공사비가 필요하고, 연간 유지비로 5억원 정도가 들어간다.

이와 관련 시는 지난해 11월 전북도와 협의 과정에서도 이같은 방침을 통보하는 한편 오는 10월 전주·익산·군산 등서 개최 예정인 올 전국체전의 경륜종목을 타시도서 열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2일 열린 전북도의회와의 간담회서 시 관계자는 “도가 시설 개보수 비용과 전주시의 첨단문화영상산업 육성을 지원해 줄 경우 경륜장 철거를 재검하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시의 입장변화에 대해 시민들은 원칙을 지켜야 할 행정이 즉흥적이고 편의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의회 김진환(중노송동)의원은 “제 역활을 못하고 폐기처분해야 할 부실덩어리에 시민들의 혈세를 투입하는 것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낭비가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경륜장 보수활용 문제는 실리냐, 명분이냐의 문제로 일단 전북도와 대화의 물꼬를 튼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전주 경륜장은 효자동 1만여평의 부지에 총 사업비 41억원을 들여 1991년 건립됐으며, 최근 3차례 실시한 정밀 안전진단에서 잇따라 재해위험시설물로 판정받아 전국체전 때 사용여부를 놓고 전북도·체육회와 전주시가 엇갈린 의견을 보여왔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