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먼저 오는 시진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시진핑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6월 방한 성사를 위해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한국을 찾는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15일 “시 주석의 방한 일정과 의제 조율을 위해 우리가 제안한 대로 왕 부장이 26~28일 방한할 것으로 보이며, 다소 조정되더라도 이달 마지막 주를 넘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외교부 관계자도 “양국이 6월을 목표로 한·중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하고 있다”며 “이번에 왕 부장 방한 때 윤곽이 거의 잡힐 것”이라고 전했다.

 시 주석이 주석으로서 서울을 찾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09년에는 부주석 자격으로 한국에 왔다. 현재의 한반도 긴장 국면에서 시 주석이 방한 전 북한을 먼저 방문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북한보다 한국에 먼저 오는 시나리오가 확실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북·중 관계로 볼 때 매우 이례적이다. 그래서 시 주석의 방한 자체가 북한에 보내는 강한 경고성 메시지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외교부 관계자는 “북·중 간 대화 채널은 계속 활발히 가동되고 있지만, 북한이 4차 핵실험 위협 등 지속적 도발을 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시 주석이 한두 달 사이 평양에 갈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며 이런 관측을 뒷받침했다.

 19년 전인 1995년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북한에 앞서 한국을 먼저 방문했다. 당시는 한·중 수교(1992년) 여파로 북·중 관계가 냉랭했었다. 이후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두 차례 방중하고(2000년 5월·2001년 1월), 남북 정상회담(2000년 6월)이 성사된 뒤인 2001년 9월 장 주석은 평양에 발을 디뎠다. 이를 계기로 양국 관계는 다시 정상화 수순으로 접어들었고,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2005년 11월 첫 방한 불과 한 달 전 부랴부랴 북한에 먼저 가서 김 위원장을 만나는 등 북한을 배려했다.

 하지만 김정일 사망(2011년 12월)이후 북·중 관계는 다시 흔들리고 있다.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은 집권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방중 의사를 타진했지만, 중국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북·중 정상회담은 아직 한 차례도 열리지 못했다. 반면 박근혜 대통령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은 세 차례나 이뤄졌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이 한국부터 온다면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조양현 국립외교원 교수는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간 고위급 교류가 거의 안 되고 있다”며 “장성택 숙청, 미사일 발사 등에 이어 중국이 압박을 가하자 러시아 등을 상대로 외교 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김정은을 시 주석이 중대한 불안정 요소로 보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한국부터 오는 것은 그 자체로 북한에 경고성 압박으로 작용할 것”(박인휘 이화여대 교수)이라거나 “북한이 시 주석의 방한을 전후로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발사 등 높은 수위의 도발을 하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에 ‘일시적 브레이크’를 거는 효과로 이어질 것”(봉영식 아산정책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이라고 내다봤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