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동평화 협상기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교착상태에 빠져 있던「제네바」중동 평화 협상의, 연내 개최 가능성이 한결 밝아졌다. 미국과 소련이 지난 2일 중동 문제의 중도적 수결원칙에 관한 공동선언에 합의한데 이어, 5일에는 절차문제의 난점 해결에 관해「이스라엘」과 미국의 이견이 좁혀진 듯한 시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협상분위기 성숙은「이스라엘」현 정권의 집요한 불 수협 자세를 국제적 여론세력과 직접적인 설득을 통해 완화하려던 미국 외교 노력의 큰 성과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해결의 최대 장점은 이른바 영토문제와「이스라엘」생존권 문제,「팔레스타인」의 권리 문제와, 협상의「절차문제」등으로 요약된다.
지금까지 중동 평화협상이 그토록 교착했던 이유는 바로 그러한 주요문제에 관해 미·소와 각 분쟁 당사자들의 의견이 상충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냉정히 생각해 볼 때, 문제를 전쟁으로 해결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한 양측은 이상의 제 문제에 관해 서로 한 발짝씩 양보하는 이외엔 달리 해결방법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아랍」제국은 지난 수십 년 동안「이스라엘」이라는 국가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으나, 「이스라엘」은 절충되지도 않았고 전멸될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그와 똑같은 현실 논리로 생각해 볼 때, 수천 년 동안 몸담아 살아오던 고토로부터 하루 아침에 추방된「팔레스타인」잡 민들의 자기 주장 역시 언제까지나 묵살될 수는 없는 문제다.
미국은 이미「팔레스타인」인의 합법적 권리를 존중하겠다는 발언을 통해 그 협상 참가권과 고토(homeland) 확보 권을 인정할 뜻을 명백히 했다.
소련 역시 이번의 공동선언에 동의함으로써「이스라엘」의 생존권을 원칙적으로는 존중할 뜻을 비쳤고,「아랍」진영도 점령지 반환을 조건부로 하는 것이라면 그 점을 받아들일 것 같은 자세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그러나「이스라엘」은 67년 이래의 점령지, 그 중에서도 특히「요르단」강 서안의 반환이나 그 지역에서의「팔레스타인」독립국 창설을 경계하여 이번의 미-소 공동 평화원칙을 강력히 거부하고 나섰다.
나아가「이스라엘」은 PLO가 참여하는 자리라면 여하한 평화협상에도 호응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자세를 굽히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앞으로 적응해야 할 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겠다.
하나는 무력에 의한 영토 확장이나 국경선 변경이 용인될 수 없다는 당위에 비추어,「이스라엘」은 어떤 방식으로든 67년 이전의 국경선, 또는 그 가까이 로 후퇴해야 하되,「아랍」측은 그렇게 됐을 경우「이스라엘」의 생존권을 완벽하게 존중해야 하며, 동시에 그러한 안전장치가 국제적으로 보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어떤 형태로든「팔레스타인」인들의 「생존의 터전」이 마련되어야 하나, 그것이 반드시「즉각적인 국가창설」이어야만 한다던 종전까지의 태도는 신축성 있게 재고돼야 하겠다는 점이다.
끝으로,「이스라엘」은「팔레스타인」출신인사가 범「아랍」대표단의 일원으로 포함된다는 조건이라면 그것까지는 굳이 반대하지 않는 반면, 「아랍」각국은 PLO를 무마하여 협상 대표권을 PLO소속 아닌 다른 일반「팔레스타인」인사에게 위임하도록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하겠다.
이러한 수협 안이 미-「아랍」간에, 또는 미-「이스라엘」간에 과연 어느 정드나 절충됐는지 확실하진 않지만, 모처럼 성숙된 협상 분위기의 성공적 결실을 위해서는 모든 당사자들이 최대한의 이성과 자제력을 발휘해 주어야만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