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남화의 한국정착은 통설보다 200년 앞섰다"일 나량 대화문화관 학예과장 길전굉지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도록 등에서나 보아 왔던 많은 진품들이 전시돼 아주 만족했습니다. 특히 익제 이제현의 『대렵』, 신잠의 『탐매도』『염소』(필자미상) 등에서는 새로운 감명을 받았습니다.』
국립 중앙박물관의 「미 공개 회화특별 전」(4월20∼5월29일) 을 보기 위해 내한한 일본 나량 대화문화관 학예과장「요시다·히로시」씨는 한국 고 회화의 우수함을 거듭 감탄하며 새로운 각도에서 주목했다.
신혼여행까지 한국으로 왔던 「요시다」씨는 현재 일본 안의 한국 회화전공학자 중에선 소장의 1인자 급.
『한국회화에 중국 남종화풍이 굳혀진 것은 겸재 정선(1976∼1759년)이후라는 게 통설이지만 고호 허구서의 산수화(1552∼)를 보면 사실상 2백여 년 앞섬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고호의 그림은 전형적인 남화기법을 구사했을 뿐 아니라 옆에 「방황대치」라 밝혀, 원말 4대 남화가의 1인자인 황대치의 필법을 따랐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것.
「요시다」씨는 『이번 전시회에서 고려나 조선전기 그림이 드물고 또 전채 계보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작품이 빠져있어 섭섭하다』고 말했다. 그는 고려나 조선 초의 불화·사경 같은 고서화는 일본에 오히려 많지만 임란 이후의 명품들은 질·량 면에서 한국에 비교가 안 된다고 했다. 따라서 일본에 소장돼 있는 한국의 고화들을 앞으로 조사, 정리해보면 보다 훌륭한 옛 자료가 나타나리라고 내다 봤다.
7일 귀국한 「요시다」씨는 빠른 시일 안에 양국에 있는 미 공개 회화들을 서로 공개하고 자료교환을 하는 기회가 계속 마련되기를 기대했다.<이은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