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강민석의 시시각각

물병이 두려웠나 … 정홍원 총리 유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강민석
강민석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강민석
정치부 부장대우

안전의 위협을 느끼는 국민 앞엔 사실 한가한 소리다. 고작 계란·물병의 위협 따위라면. 그러나 그조차 좀 당당하게 맞서는 정치인(고위공직자)과 새가슴인 부류로 갈리는 것 같다.

 #1. “그때도 계란 한 방 맞았지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말이다. 2001년 인터뷰 때였다. 두 번 계란을 맞은 일화를 소개했다.

 부산 정치집회에서 한 번, 대우자동차·GM과의 인수협상 때 “외국 자본으로라도 공장을 돌리자”고 노동자들을 설득했다가 세게 한 방 맞았다고 했다. 그러나 계란 맞은 걸 수치로 여기진 않았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한번씩 맞아줘야 국민들의 화가 좀 안 풀리겠는가.”

 말이 무섭게 한 번 더 봉변을 당했다. 2002년 ‘우리 쌀 지키기 전국농민대회’에서 연설하던 도중, 날아온 계란이 얼굴에 명중했다. “얼굴이 축축하길래 피가 나나 했다”면서도 연설을 끝까지 마쳤다.

 #2. 1987년 김대중(DJ) 전 대통령(당시 대선후보)의 대구 두류공원 유세 때였다. 연설을 시작하기도 전에 돌멩이가 어지러이 날아들었다. 수행원들이 방패로 몸을 가리려 했다.

 “치우시오. 이 더러운 지역감정의 돌멩이에 맞으면 어떻습니까. 때리라고 하세요!”

 실제 한 말은 이와 조금 다를지 몰라도, 연단 앞에 떼구르르 돌멩이가 나뒹구는데, 방패를 밀쳐낸 걸 학창 시절 TV로 본 기억이 난다. DJ도 당시 연설을 끝까지 마쳤다.

 #3. 정홍원 국무총리가 지난 17일 세월호 실종자들 앞에 섰다. 해외출장에서 돌아오자마자 진도체육관으로 직행한 것까진 좋았다.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이 “총리님 오셨습니까”라고 환대할 걸로 기대하진 않았을 것이다. 물병이 날아왔다. 자정쯤 도착한 정 총리는 10여 분 만에 등을 보였다. 가족들이 승용차를 막아섰다. 정 총리는 여러 시간 동안 차 안에서 눈을 지그시 감고 있다가 새벽 5시쯤에야 현장을 빠져나갔다.

 그럴 거면 왜 갔나. 이랬으면 어땠을까. 차 안에서 몇 시간을 죽치고 앉아 기다릴 게 아니라, 다시 내려 물병 든 가족들의 손을 꽉 잡았더라면. 그리고 체육관 안으로 다시 들어가 같이 울거나, 정 눈물이 안 나오면 그들의 눈가를 닦아주기라도 했다면. 해양경찰청장이든 장관이든 불러서 혼낼 건 혼내고 “이분들이 원하는 걸 당장 들어주라”고 지시했다면. 못할 일인가? 바로 몇 시간 뒤 박근혜 대통령은 했는데. 당시 박 대통령과 실종자 가족들의 문답을 보면서 귀를 의심했다. 실종자 가족들이 대통령에게 원한 게 ‘상황판 설치’ 같은 것들이었다. 대통령보다 먼저 현장을 방문한 총리는 왜 해결 못했나. 당연한 상황판 하나까지 대통령이 지시해야 공무원이 움직이는 나라임을 보여주려고? 물병을 뒤집어써 생수가 안경을 타고 줄줄 흘러내리더라도 “늦었지만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면, 사의 표명한 그에게 조롱은 안 나왔을 것이다.

 #4. “정홍원이 누군데?”

 27일 정 총리의 사의 표명 이후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트위터에 올린 시중 여론이다. “아, 그 물병 맞은 아저씨?”

 얄미운 말이긴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니다. 기자도 비슷한 반응을 만났다. ‘아저씨’ 대신 ‘정원홍’이라 부르는 사람도 봤다. 박근혜 정부는 총리 없는 정부였나.

 정 총리에 국한한 얘기는 아니다. 고위급 인사나 정치인들에겐 가도 욕먹고, 안 가도 욕먹는 현장이 널려 있다.

 안 가서 욕먹을 바엔 가서 계란의 역습을 받더라도 현장과 호흡하며 느낄 걸 절절하게 느끼고 돌아오는 게 낫다는 생각이다.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계란과 물병에 쫓겨온 뒤 국민을 ‘미개인’으로 본다면, 최악이다. 아무 생각 없이 갔다가 사진 찍고 되돌아오려면, 약은 사람들처럼 납작 엎드려 몸 사리고 ‘죄인 스탠스’를 취하는 게 낫다. 카메라에 눈도장 찍으러 갔다가 욕만 먹는 ‘바보들의 행진’은 질릴 만큼 봤다.

강민석 정치부 부장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