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부 위탁업체, 이윤 남기려 위생 외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학생들의 대규모 집단 식중독 발병을 계기로 학교 급식을 둘러싼 '직영급식'과'위탁급식'논란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이번에 사고가 난 학교들은 모두 외부 급식업체에 급식을 맡기고 있기 때문에 '직영급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학부모들의 목소리가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참교육학부모회 등 40여개 시민단체들은 '학교급식네트워크'를 결성해 줄곧 '직영급식'을 주장하고 있지만 상당수 학교들은 학교 여건.비용.편리성 등을 이유로 위탁을 선호하고 있다.

◇학교급식 실태=현재 전국 초.중.고교와 특수학교 1만3백63개교 가운데 96.4%인 9천9백89개교에서 학교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사실상 거의 모든 학교에서 급식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하루에만 6백55만명의 학생이 학교에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 사고가 난 서울지역의 경우 초등학교는 상당수가 직영급식을 하고 있지만 중학교는 2백96개교 모두가 위탁급식을 하고 있고, 고교는 2백66개교 중 9개교만 직영급식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점=위탁급식의 가장 큰 문제는 위탁업체가 이윤을 남기기 위해 비교적 질이 떨어지는 음식재료를 쓰는 등 위생관리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한끼에 1천9백~2천2백원 정도인 식대를 받고 초기 시설투자비와 재료비.인건비 등 비용을 충당하고 이익을 내려면 값싼 식자재를 사용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영세업체라 수시로 조리사 등 직원들이 바뀌어 체계적인 위생관리를 하기 어렵다.

이번에 사고가 난 서울 성동여실고 황모(50)교사는 "급식을 확보해주는 조건으로 참여한 업체들이 많고 이런 식으로 들어온 업체들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급식의 질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며 "비단 우리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일부 학교가 직영급식을 회피하는 것은 사고가 날 경우 학교장이 책임을 져야 하고, 영양사 등 식당 직원들에 대한 인건비도 학교운영비에서 일부 내야 하는 등의 부담이 생기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위탁급식은 학부모들이 낸 급식비로만 운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