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실업교육 강화, 대학「러쉬」막아야/기업은 고졸생선발 폭넓히고, 평준화추진 일류대집중 억제/예시강화 주장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재수생은 아주 없앨수도, 그럴 필요도 없다. 다만 해마다 늘어나는 악순환 현상만은 완화시켜야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묘책이 거의없다』는 것이대부분의 교육전문가들의견해다. 재수생문제는 교육과 사회 두 측면에서오랜 시일을 두고 종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하지만 현재까지 관계당국이 이에대해 소홀히 다루어왔기 때문이라는것.
그동안 제시돼온 각종방안을 교육제도적인 면과 사회구조적인 면으로나누어 우선 교육제도적인 면부터 살펴보자.
재수생의 누증방지를 위해서는 대학정원을 대폭늘려야한다는 것을 많은학자들이 주장하고있다.
이들은『고등교육인구확대는 세계적인 추세』(서울대 김종철교수)라고 지적, 4년제 대학정원의 연간평균증가율(70∼75년)을 현재의 4·6%에서 8%선 이장 증원(고대 유인종교수)할것을 주장했다. 이와아울러 단기고등교육기관(초급대·전문학교·통신대)도 대폭확충해야한다는 것이다.
또 문리대등 학위수여대학에 한해 입학정원제를 철폐, 대입예시 성적만으로 입학하도록 하거나(이대 이규환교수), 아예 모든 대학에대해 졸업정원제를 실시(고대 이중교수), 입학의문을 개방토록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주장도있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의 대학시설이나 지역적인 분포, 대학간의 격차등으로 당장 시행하기 어렵고, 이른바 예비학사나「인텔리」실업자를 양산할 우려마저 없지않다는주장도 적지않다.
대학정원증원과 관련, 대입예시를「자격고시」화(김종철교수)하고 대학입시제도를 개정, 재수생에게 불리하게하자는 의견(유인종)도 있다. 즉 대입예시 합격자를 대학정원과 관련, 현재와 같이 2배정도로 뽑지말고 성적만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합격시킴으로써 대학예시 탈락자의 대학진학포기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입학정원은 대학자율에맡기되 대학4년중 전반2년을 교양과정, 후반2년을 전문과정으로 구분, 그 사이에「중간학위」를두도록 하자(서강대 임진창교수)는 주장도있다. 이는 대학2년을 마친뒤 능력이 모자라거나 더 공부할뜻이없는 학생들에게「교양사」자격증을 주어 그만두도록하고 4년을 마친뒤엔 엄격한 시험을거쳐 합격자에 한해 학사학위를 주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또 실업교육을 대폭강화하고 각기업체의 사원모집에 학력제한제를 철폐, 고교졸업자들에게 취업의 길을 넓혀야 한다는의견을 주장하는 이도 많다. 이른바「조기선발」과「대학평준학」문제등도 재수생 누증 방지방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조기선발은 초·중등교육과정의 적정시기에 각개인의 능력과 소질을 엄밀히 검정, 장차 대학진학자와 사회진출자를 미리부터 가려 진로를 결정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는 영국·프랑스·서독등에서 국교4, 5학년말에 실시하는「11세시험」과 비슷한것이나 학생들의 능력등을 어릴적부터 성급하게 판단한다는것 자체에는 많은 문젯점을 안고있고 이때문에 외국에서도 이의 시행이 차차 보류돼가고 있는 실정이라는것.
대학평준화주장도 있는데 이는 지방대와 2·3류대의 교육시설및 교육내용을 대폭확충, 1류대와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1류대 집중 경향을 둔화시키자는 것이다.
영국이 이와같은 방법으로「옥스퍼드」나「케임브리지」대등 1류대의 집중지원율을 낮추는데 성공한바있으며 우리정부에서도 지방대 육성시책이 추진되고있으나 근본적인재수생 대책으로는 볼수없다.
이와함께 어느때고 대학에 들어가 공부할수 있는「전생애교육제도」(연세대 오기형교수)가 검토돼야한다는 의견도있다.
이는 대학에서 공부하다가 학비조달과 가정형평등 능력부족으로 학교를 나와 취직한뒤 희망하는 시기에 희망하는 학과에서 다시 공부할수 있도록하는 제도로 미국과 일본등에서도 검토되고 있다. 이밖에 재수생에대한 응시횟수제한도 일단 생각해 볼수 있다. 그러나 응시횟수제한은 학생들을 더욱 초조하게만할뿐 3수이상의 재수생은 전체지원자의 6%정도로 사실상 얼마안돼 별의미가없다. <오당모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