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독·일, 불황 타개에 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미국과 서독은 경기회복을 위해 총수요 억제정책을 완화하기 시작했으나 일본은 계속 물가안정에 정책 우선순위를 두기로 했다.
미국 「포드」대통령은 11일 백악관에서 열린 경제심의회에서 물가는 어느 정도 안정세에 들어갔다고 지적, 「인플레」대책에 우선했던 정부기조를 수정하여 불황대책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포드」대통령은 불황대책을 반영하기 위해 「인플레」억제에 중점을 두었던 신 경제정책의 수정안을 내년 초 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드」대통령은 실업증가와 생산침체가 더욱 심각하다고 말했다.
서독은 경기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금융정책을 쓰기 시작했는데 우선 작년에 투자세 등으로 축적·동결했던 재원 1백억「마르크」 중 17억「마르크」를 풀어 공공사업·고용촉진·불황업종 등에 충당키로 했다.
또 민간투자를 증진시키기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투자에 대해 내년 6월까지 기한으로 7 5%의 장려금을 지급키로 했으며 곧 중앙은행의 재할인율도 내리기로 했다. 서독도 실업증가로 인한 사회불안 때문에 금융·재정면의 경기자극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그 반면 일본은 아직 「인플레」가 강세를 보이고있어 물가안정을 겨냥한 총수요억제책을 계속 견지키로 했다.
신임 삼목 수상은 정책포부에서 10% 이상의 「인플레」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총수요억제책을 당분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삼목 내각의 경제정책방향을 결정할 경제각료대책위원회의 「리더」인 복전부 총리는 「인플레」를 수반한 고도성장보다 「인플레」없는 저성장을 주장하는 안정론자여서 당분간 적극적인 경기회복책은 쓰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금년에 명목성장율을 19%선이 될 것이나 물가상승분을 공제한 실질성장율은 「마이너스」1∼2%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있다. 금년 물가상승률은 도매가 25%, 소비자가 22%로 예상되고 있다. <외신 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