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 한국군 지원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정부는 20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우리와 동맹관계인 미국과 협의해 1개 대대(5백~6백명) 규모의 건설공병부대와 1백50명 수준의 의료지원단을 대(對)이라크전에 파병키로 방침을 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대이라크전 지원은 군사분야와 경제분야로 나눠 이뤄질 예정"이라며 "군사분야에서는 독자활동이 가능한 1개 대대 규모의 건설공병부대와 이동외과병원을 운영할 수 있는 1백50명 수준의 의료지원단을 파병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국익과 한.미관계 및 군 여건을 고려한 뒤 국회 동의를 받아 파병을 추진할 예정이나 전투병 파병은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파병 검토는 지난해 11월 미국이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50여개국에 보낸 비공식 외교문건(NON-PAPER)을 통해 이라크전과 관련해 수송.의무.공병 등 지원가능 분야를 타진함으로써 시작됐다. 미국도 지원 여부를 타진하면서 한국 국민의 정서를 감안해 대아프가니스탄전 때와 달리 전투병 파병은 거론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요청을 받은 정부는 당초 걸프전과 아프가니스탄전 수준의 지원방안을 검토했다. 걸프전과 아프가니스탄전에는 각각 1백50명 내외의 병력과 장비로 구성된 의료지원단과 수송지원단 등이 파병됐다.

정부 차원의 검토작업을 하던 중 국방부가 "아프가니스탄전에 투입된 의료지원단과 해.공군 수송지원단이 지금도 지원활동을 벌이고 있어 추가로 파병할 의료 및 수송지원단이 없다"고 밝히자 건설공병부대만 파병키로 결정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국방위원들이 20일 오전 국회를 방문한 조영길(曺永吉)국방부장관에게 "의료지원단도 파병하라"고 제안, 이날 오후에 열린 긴급 NSC 상임위원회에서 의료지원단 파병을 적극 검토하는 쪽으로 방침을 바꿨다.

한편 정부는 1991년 1월 17일 걸프전이 일어나고 7일 뒤인 1월 24일 사우디아라비아에 의료지원단을 파병했으며, 2월 24일에는 공군수송단을 아랍에미리트로 보냈다.

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