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주인 바뀔 당직 4백여 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전당대회를 끝낸 신민당의 다음활동은 당직 인선과 관련한 인사 개편작업. 막강한 인사권을 걸머 쥔 김영삼 총재가 장중에서 요리할 「감투」는 줄잡아 4백여 개에 이르고 있다.
위로는 정무위원과 사무총장·원내총무·정책심의회 의장 등 당 3역으로부터 중앙당 부·차장에 이르기까지 대소 당직에 대한 지명 혹은 임면권이 당수에게 주어져있다.
종전에는 정무위원을 전당대회에서 선출했으나 새 당헌은 총재가 지명토록 규정하여 사실상 모든 당직을 당수가 좌지우지 할 수 있게 됐다.

<당무위원 자리도 인기품목>
○…총재가 손댈 4백여 개 감투는 △정무위원(자동「케이스」빼고 19명) △정무회의 부의장(1명) △사무총장·원내총무·정책심의회 의장·당기위원장·정치훈련원장·인권옹호위원장·대변인·부총무(3명) 등 주요당직(10명) △각급 위원(1백 25명) △국·부국장 급(15명) △부·차장(60명) △11개 시·도 연락실장과 전당대회 위임에 따라 △중앙상무위원(3백 명중 자동직 빼고 1백 50명) 등.
이 가운데 이른바 「노른자위」역직은 당수 승계권이 있는 정무회의 부의장과 사무총장· 원내총무·정책심의회 의장·대변인 등 다섯 자리.
국회 부의장 직도 정무회의 부의장에 버금가는 요직이지만 현 이철승 부의장의 임기가 76년 3월까지여서 이번 인사에서는 제외된다.
부당수 격인 정무회의 부의장은 형식상 정무회의에서 호선토록 되어 있으나 당수가 정무위원을 지명한다는 점에서 이 인선도 총재 의중 인물이어야만 가능하게 되어있다.
요직 이외에 각 계파가 관심을 갖는 자리는 정무위원과 중앙상무위원. 정무위원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주요의결기관이기 때문이며 상무위원은 다음 전당대회 대의원이란 점에서 인기품목이 되어있다.

<「다선 의원 우선」적용될지>
○…묵직한 「감투」는 대부분을 원내 의원이 차지하게 마련이며 다선 의원 우선 원칙이 관례다.
유진산 체제 때는 3선 이상의 현역의원에게 무조건 정무위원자리를 주었었다.
그러고도 자리가 남아 재선의원 2명에게까지 돌아갔다. 그러나 이번에는 정무위원수가 5명 줄어 자동「케이스」를 빼고 총재가 지명할 수 있는 정무위원은 19명이다. 3선 이상의 의원은 모두 23명. 김 총재와 이철승 국회 부의장·이충환 전당대회 의장이 자동「케이스」이므로 당직을 줄 수 있는 3선 이상이 20명이지만 다선 의원 중에 김 총재 계파가 적기 때문에 정무위원을 다선 원칙으로 지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51명의 신민당 소속 의원 중 3선 이상은 ▲8선=정일형(1명) ▲6선=김영삼·정해영(2명) ▲5선=이철승·김원만·정창주·이충환(4명) ▲4선=고흥문·이민우·정운갑·김형일·이중재·한건수·박한상·김은하(8명) ▲3선=신도환·박영록·송원영·박해윤·김수한·이상신·김현기·이기택(8명) 의원이다..

<벌써부터 나도는 하마 평>
김 총재는 대회직후 당직인사를 초 계보로 하겠다고 했으나 논공행상이나 당내 자파 세력의 구축을 전혀 도외시할지는 의문이다.
탈 계파적으로 본다면 당 제2인자인 정무회의 부의장이 6선이나 5선 의원 중에서 나옴직하다. 당권경쟁을 벌였던 정해영·고흥문씨와 김원만 전 부총재 등이 하마 평에 올라있는데 당수선거 과정에서 김 총재와 이미 묵계된 사람이 없다면 안정세력의 구축과 관련지어 선정될 공산이 크다.
중견의원들에게 매력적인 자리는 야전 사령관 격인 원내총무자리.
김 총재 자신이 원내총무 직을 다섯 차례나 역임한바 있어 누가 총무직을 맡든 깐깐한 시어머니를 모셔야 할 판이다.
김 총재가 강경해서 원내총무는 신축성있는 협상파가 적임이라는 당내 일부 의견이 있으나 어떤 기준에서 원내사령이 인선될지 아직 예측하기 힘든 상태다.
대체로 4선 중에서 나온다고 보고 중도의 김형일, 고흥문계의 이중재, 중도에서 김 총재계로 급전한 김은하 의원 등이 물망에 올라있다. 이 3명중에서 사무총장도 나올 것이란 견해가 없지 않다. 당수 직속으로 된 대변인이 재선의원 중에서 발탁된다면 김 총재의 참모장인 황낙주, 고흥문계의 채문식, 신도환계의 신상우, 중도의 이택돈, 이철승계의 오세응 의원 등이 적임일 수 있다는 당내 분석이다.

<친위사단 형성 움직임도>
○…유진산 전 총재가 전당대회 후 1년이 되도록 당기위원 인선을 하지 않았을 정도로 역대 당수치고 인선에 골치를 앓지 않은 경우가 없다. 거의가 몇 개월씩 걸렸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정기국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형편에서 주요 당직인선을 오래 끌 수는 없게 됐다.
특히 당수선거 과정에서 당직을 놓고 어떤 흥정이나 묵계가 있었다면 인선은 혼선을 피하기가 어려울지 모른다.
선거과정에서 어떤 후보는 원외 대의원에 대한 차기공천을 밀약했고 제휴와 연합·포섭을 위해 당직을 보장하는 각서 교환 제의설이 나돌기도 했던 것.
대회가 끝나자마자 당수에게 안정세력을 주겠다는 명분으로 친위사단을 계획하는 것도 당직 인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유진산 전 당수 때도 이른바 「필동 사단」이라 하여 친위「그룹」이 형성돼 당 요직을 차지한 전례가 있다. 김 총재 친위「그룹」형성에는 중도의원들도 한몫 끼려는 움직임조차 있다.
여하튼 김 총재 자신의 계파가 미약하기 때문에 이번 인사는 논공행상이냐, 안정세력 위주냐, 초 계파적이냐에 관심을 끌고 있다.
인사에 시간이 걸릴수록 잡음은 꼬리를 물 것이 확실하다. <조남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