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안맞는 '청와대 브리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청와대의 브리핑 시스템에 혼선이 생겼다. 특정 사안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송경희(宋敬熙)대변인의 공식 브리핑과 청와대가 자체 제작해 각계에 배포하는 '청와대 브리핑'의 내용이 상당히 다른 뉘앙스를 전한 것이다.

청와대 브리핑을 담당하는 국정홍보비서관팀과 대변인은 모두 홍보수석실 소속이면서도 활발한 의견 교환을 거치지 않았다고 밝혀, 사회적 파장이 매우 큰 대통령의 언급을 국민에게 전하는 체계에 허점이 있음을 드러냈다.

宋대변인은 지난 11일 국무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면서 "盧대통령이 재경부가 보고한 개인 워크아웃 대책에 대해 실효성이 부족하므로 실질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 날짜 청와대 브리핑은 "盧대통령이 '대책이 없이 대강 짚고 넘어가자는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질타했으며, 회의장에 긴장감이 흘렀다"고 전했다.

청와대 브리핑에 따라 일부 언론은 "盧대통령이 김진표(金振杓)경제부총리를 질타했다"고 보도했으며 '부처 기강잡기'란 해석을 붙이기도 했다.

그러자 宋대변인은 12일 "盧대통령의 발언은 회의를 주재하며 늘 해왔던 일반적 수준이며, 질타가 아닌 지적 정도였다"며 "청와대 브리핑이 너무 앞서간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