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전세난민, 김포·고양으로 방향 전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거주 중인 A씨는 내년 초 전세계약 만기를 앞두고 밤잠을 설쳤다. A씨 같은 전세난민의 고민이 일 년 내내 계속되고 있다.

전셋집 품귀현상이 지속되면서 전세계약 만료 전에 하루라도 빨리 새 보금자리를 구해놔야 하기 때문이다. 해마다 오르는 전셋값에 추가 대출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 A씨는 최근 저렴하면서도 서울로 출퇴근이 보다 수월한 곳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외곽으로 눈길을 돌렸다.

전세 수요가 서울 외곽으로 향하면서 기존 아파트들의 전세 문의뿐 아니라 미분양 아파트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울 외곽 인접지역이지만 과거 미분양이 남아있는 김포·파주·고양시 등 미분양 아파트들이 새로운 ‘전세 탈출구’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오른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해 서울지역에서 서울 인근에 위치한 김포·별내·동탄·하남 등 신도시나 택지지구로 서울에서 집을 옮겨 온 사람들이 늘고 있다. 지난 10월 통계청의 ‘국내인구 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경기도로 전입한 인구는 총 65만 명으로 이 중 54.4%인 35만4000명이 서울시에서 전입해왔다. 시·군별로는 경기도로 순 이동한 8만3000명 가운데 64.1%를 김포시(2만9000명)와 수원시(2만4000명)가 차지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들 서울 외곽 신도시나 택지지구는 계획적인 개발에 따라 기반시설 및 교육, 생활편의시설도 잘 갖춰진 편이라 서울과 주거환경 차이가 크지 않다. 또 서울에 비해 전세 보증금이 저렴하고, 교통망 개선으로 서울 출퇴근이 보다 쉬워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서울·경기의 전셋값 차이에 따라 향후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송덕순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