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으로 보는 「선사」의 신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난 겨울의 이상 기온은 울산 공업 용수 저수지의 수위를 7m나 떨어뜨림으로써 고고학계에 뜻밖의 수확을 안겨주었다. 그것은 경남 언양 반곡리의 선사시대 암벽각화.
지난 1월 동대 박물관 문명대 교수에 의해 비로소 맨 꼭대기 부분인 무도 인물과 거북이 발견된 후에도 물이 2조나 더 빠지자 폭 8m의 각화면이 드러나 온갖 짐승과 물고기의 「퍼레이드」를 보인 것이다. 이들 동물 그림은 수렵·어렵 시대 사람들에 있어 양식의 주요 품목이요, 그 점에서 박물관다운 자료가 된다. 더구나 그것은 우리 나라에서 발견 예가 없는 신석기 내지 금속 시대의 새로운 유적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동국대 조사반은 최근 우중에도 조사 작업을 강행했고, 또 국립박물관과 미술 사학회 조사팀까지 합세해 한층 긴박감을 주었다. 물 속에 아직도 굉장히 묻혔다는 주민의 귀띔이지만, 봄비로 인해 수위가 날로 높아가 노출됐던 것마저 다시 잠겨버리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