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너무 수준 낮은 낙농제품소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우리 나라의 낙농사업은 낙농제품에 대한 절대적 소비수중이 엄청나게 낮기 때문에 벌써부터 상대적인 공급과잉현상을 유발하는 등의 기본적 문제점에 당면해있다.
지난 71년 말 현재 시유·분유·연유 등 낙농제품의 총 소비량은 원유로 환산, 6만5천4백41t으로서 1인당 하루 평균 약 59g 정도(1홉은 1백80g에 불과하다. 이는 외국에 비하면 극히 낮은 수준인데 68년 말 현재 미국이 1인당 하루 6백71g으로서 우리 나라의 1백30여 배, 일본이 1백23g, 대만도 17g으로 우리의 3배가 넘는다.
뿐만 아니라 그 나마의 소비량 1인당 하루 평균 5g 수준도 국민소득증대추세에 힘입어 지난 수년간 유제품수요가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며 65년에는 0.8g, 작년 1.2g, 67년 1.6g, 68년 1.9g, 69년 2.8g, 70년에는 3.7g으로서 최근 몇 년간 연평균 44%를 기록한 높은 신장률에 힘입은 것이다.
이렇듯 낙농제품 소비가 최근 수년간 급격히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처럼 절대적 소비수준이 낮은 것은 식생활관습이나 소득수준 등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당국이나「메이커」가 모두 수요개발을 소홀히 했고 특히「메이커」들의 공신력부족 등에도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즉 정부는 지난 68년부터 시작된 낙농진흥4개년 계획에 따라 젖소도입을 통한 공급확대에만 급급했을 뿐 대체식량으로서의 낙농제품소비를 늘리기 위한 가격정책 등에는 극히 소홀했으며 학교아동급식용에 대해서도 이제 비로소 정부보조에 의한 소비확대를 검토하고있는 정도다.
한편 「메이커」들의 책임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지난 70년에 있었던 『대장균 파동』의 여파가 아직도 완전히 가시지 않은채 소비자들이 제품의 질을 아직도 믿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물 탄 우유』에다 『배탈이 날 염려가 있다』는 점을 들어 심지어 학교 교사까지도 아동들에 대한 우유급식을 꺼리고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서울에서도 불과 24.1%에 해당하는 가구에서만 우유를 먹고(농협중앙회조사)있으며 우유를 먹고있는 사람가운데도 우유의 살균이 『잘됐다』고 위생면에서 긍정적 반응을 보인 가구는 51.7%에 불과하다.
그러나 농협에 의한 『우유의 잠재시장』조사에 따르면 비위생적이며 질도 좋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면 우유를 『먹겠다』혹은 『먹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인 가구비율이 48.9%에 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생문제와 품질의 측면이외에도 값이 비싸(32.2%)고 배달도 잘 되지 않아(0.5%) 우유 먹는 것을 중단했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값은 원유 값에 비해 가격 상승률이 훨씬 앞서고 있으며 지난 67년 이후 지금까지 원유가격이 40% 오른 데 비해 우유 값은 같은 기간동안에 85%나 올랐다.
이러한 우리 나라 우유 값의 절대적 수준은 외국에 비해서도 월등히 비싸다.
지난 69년 7월 현재 우리 나라의 우유 값은 ㎏당 43원인데 비해 ▲이태리 34원16전 ▲미국28원76전 ▲서독 26원2전 ▲「스웨덴」25원44전 ▲영국 24원44전 ▲「네덜란드」23원40전 ▲「덴마크」16원73전이며 70년 말 현재로 일본과의 우유 값을 비교해 보면 우리 나라가 1홉에 19원인데 일본은 15원이다.
따라서 농협은 가격대책의 하나로서 장기 대량 소비자에 대해서는 값을 싸게 해주는 차등 가격제 실시를 건의하고 있다.
한편 국민보건 향상과 우유의 수요증대를 다함께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정부보조에 의한 학교 아동 급식제 실시가 절실히 요청되고있는데 일본의 경우는 지난 70년 중에 총 우유생산량의 약 12%에 달하는 56만6천t이 아동급식으로 소비됐으며, 아동급식을 위한 정부보조도 38.5%(1백62억원)에 달하고있다.
우리 나라는 구호분유를 원료로 한 일부 학교의 정부보조 없는 전액 유상급식제도가 실시되고 있을 뿐이며 따라서 소비량도 극히 적다.
수요창출에 못지 않게 「메이커」가 유제품을 다양화할 필요성도 강조되고있다.
현재 낙농제품으로는 시판우유를 비롯, 분유·연유가 거의 대부분이며 「버터」 「아이스크림·파우더」「요구르트」등은 극히 적은 분량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확대를 통해 낙농경영규모를 대단위화하고 제품을 다양화하며 또한 사료가격 등을 적정화함으로써 가격인하를 가능케 하여 낙농제품대체소비의 기반을 조성하는 상호연관성 있는 종합시책이라고 지적되고 있다.<김두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