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현병 가족, 더 창의적?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아직은 정신분열병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조현병’ 가족들이 더 창의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모으고 있다.

최근 조현병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결과가 영국정신의학회지에 보고된 것. 스웨덴에서 1973년부터 2003년까지 조현병, 우울증, 조울증 등 중증질환 가족 30만 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조현병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창의성 비교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조현병 환자 가족은 정상군에 비해 창의성이 과도하게 높게 보고된 것이다.

대한조현병학회 김찬형 이사장은 “제한된 조건 하에서 조현병 성향이 창의력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지만 여전히 확언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며 “이번 연구 외에도 조현병과 창의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조현병과 창의성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으로 조현병 환자의 존엄성을 키울 수 있을 것이며, 왜 정신분열병이 아니라 조현병인지를 설명해주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현병, 조기 치료가 중요

사실 ‘조현병’은 환자들의 망상이나 망각, 환청 등으로 인해 생기는 행동을 폭력성과 연계하면서 잘못된 사회적 낙인이 찍히면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실제 조현병 환자 중에는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존 내쉬, 유명 음악가인 나다니엘, 러시아 무용수 나진스키, 천재적 조각가 까미유 끌로델 등도 있다. 이 중 존 내쉬와 나다니엘 에어스는 각각 수학과 음악 분야에서 천재적인 모습을 보이며 성공궤도에 올랐지만 나진스키와 까미유 끌로델은 정신병원과 보호시설을 전전하며 쓸쓸하게 삶을 마쳤다.

이들은 똑같은 조현병을 앓았지만 다른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이유는 과학적인 치료를 받은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로 나눠지기 때문이다.

김 이사장은 “조현병 등 정신질환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조현병도 제대로 된 치료와 관리를 받는다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기기사]

·제약업계 "의약품 시장 왜곡하는 제도 폐지해야" [2013/11/11] 
·[포커스] 평행선 달리는 원격진료 허용, 해법 없나 [2013/11/11] 
·‘와각지쟁’ ‘지어지앙’…醫-政, 때 아닌 한자성어 논쟁 [2013/11/12] 
·"인슐린펌프 치료, 당뇨병 완치 가능성 길 열어" [2013/11/11] 
·대체조제 장려금 두고 의사협회vs 약사회 충돌 [2013/11/12] 

한석영 기자 syhan@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