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숭례문 복구 어떤 문제 있기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2008년 2월 10일 숭례문이 방화 사건으로 무너져 내렸다. 대한민국의 얼굴을 잃었다는 비통함은 숭례문 복구 프로젝트로 극복될 것 같았다. 2층은 불에 타 사라졌지만 1층은 상당 부분 살아남았고, 또 돌로 지은 부분은 건재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국보 1호 숭례문을 되살릴 수 있다고 자신했다. 전통 재료와 방식을 사용해 잃어버린 기술의 맥까지 잇겠다고 선언했다. 5년여의 복구 작업 끝에 올 5월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이 열렸다. 하지만 성대한 행사가 있은 지 보름여가 지난 시점부터 단청이 훼손된 모습이 감지되기 시작했다.

 본지는 이달 7일부터 숭례문 복구를 둘러싼 여러 문제점을 집중 보도했다. 우선 준공 반 년 만에 총 81곳에서 단청 벗겨짐이 관찰됐다. 천연 재료와 아교 대신 일본산 화학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험 결과 숭례문 현장에서 떨어져나간 단청 조각은 아교를 사용한 전통 안료와 달리 뜨거운 물에도 녹지 않았다. 아교가 아닌 화학 접착제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문도 제기됐다.

 부실 복구 논란은 단청을 넘어 숭례문 전체로 확산됐다. 취재 결과 2층 문루 기둥 4개 중 1개가 세로로 1m쯤 갈라져 흰 속살을 드러냈다. 추녀와 서까래 등의 다른 목재도 일부 갈라져 있었다. 목재의 건조 상태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전통기법은 단청 이외의 부분에서도 잘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 수리 전문 기술자 자격증을 1000만~3000만원에 불법 임대하는 등의 문화재 현장의 고질병도 확인됐다. 문화재청 출신 공무원은 필기시험 일부를 면제 받는 등 특혜 논란도 재연됐다.

 고건축 보수 전문가인 윤홍로(74) 전 문화재위원은 “공기에 쫓겨 부실까지 감내하면서 진행된다는 인상은 받지 받았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 안타깝다. 조금 더 신중을 기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수사 어떻게 되나=일반적으로는 감사원이 관련자 진술 및 사실관계 등을 조사한 뒤 혐의가 있다고 판단되면 검찰에 수사의뢰, 또는 고발 형태로 사건을 넘긴다. 강제수사권을 가진 검찰은 압수수색 및 관련자 소환 조사, 계좌추적 등을 추가로 진행한 뒤 기소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현재 검찰 내 문화재 관련 수사를 전담하는 부서는 없다. 토지·개발 및 건설 사건을 주로 담당하는 서울중앙지검 형사8부에 배당될 가능성이 크다. 중앙지검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에만 몇 달 걸리기 때문에 아직 특별한 준비는 하지 않고 있다”며 “사건이 넘어오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철저히 수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희·박민제 기자

관련기사
▶ 숭례문 불 탔을 때 "가슴 아프다"했던 朴대통령, 이번엔…
▶박 대통령, '숭례문 부실' 질타…"원전만큼 심각하게 인식"
▶ "숭례문 네 파트 감사 연내 매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