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올 이즈 로스트' 주연 로버트 레드퍼드, 폭풍우와 맞서다 … 그 깊은 눈빛 하나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올 이즈 로스트’에서 노인(로버트 레드퍼드)의 요트는 컨테이너 박스와 충돌해 물이 새기 시작한다. 통신장비마저 침수돼 노인은 망망대해에서 고립무원의 신세가 된다. 설상가상 폭풍까지 몰아치며 노인은 최대의 난관에 부딪힌다. [사진 UPI 코리아]

영화 ‘올 이즈 로스트’(원제 All Is Lost, 7일 개봉, J C 챈더 감독)의 등장인물은 사실상 한 명이다. 홀로 요트를 타던 나이든 남자가 조난당해 사투를 벌이는 얘기다. 대사도 몇 마디 없다. 화면을 가득 채우는 건 입을 꽉 다문 남자의 움직임과 눈빛, 그리고 폭풍우다.

 그것만으로도 보는 이를 빨아들인다. 주연은 할리우드의 살아있는 전설 로버트 레드퍼드(77). 1970~80년대 서부극 ‘내일을 향해 쏴라’(1969), 로맨스물 ‘위대한 개츠비’(1974), 사회드라마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1976) 등등 종횡무진 활약한 그다.

 그는 ‘올 이즈 로스트’에서 주름진 얼굴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 곧 시작될 미국 내 각종 영화시상식서 남우주연상 후보지명도예상된다. 1980년대 초 미국 최고 독립영화축제 선댄스영화제를 키워낸 것으로도 유명한 그를 최근 뉴욕에서 만났다.

 - ‘SOS’‘도와줘’ 등등 대사가 별로 없다. 시나리오를 처음 대했을 때의 소감이라면.

 “두려움을 느꼈다. 감독이 제정신인지 아닌지 만나봐야겠다 싶었다. (웃음) 만난 지 10분만에 내가 오래도록 하고 싶었던 이야기라는, 배우로서 완전한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라는 생각을 했다. 대화나 내레이션, 특수효과도 없이 순수한 영화적 경험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 실제 항해를 해본 경험이 있나.

 “아주 가벼운 정도…. LA에서 자라 바다, 수영, 서핑 이런 걸 항상 즐겼다. 깊은 바다로 간 적은 없고 해변에서 논 정도다.”

 - 이름도, 과거에 대한 이렇다 할 정보도 없는 주인공을 어떻게 연기했나.

 “캐릭터에 대한 정보가 아주 조금은 있다. 우선, 이 남자는 노트를 쓴다. 아마도 가족에게 쓰는 듯하다. 둘째, 뭔가에 굉장히 미안해 하고 있고 셋째, 뭔가를 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리고 혼자라는 것, 그 정도면 충분하다. 안 그러면 너무 복잡해진다.”

 - 실제로 생사를 오갔던 경험은.

 “7년 전 아내하고 작은 제트기로 이동 중이었는데, 갑자기 엔진 두 개가 모두 멈췄다. 고도가 4만1000피트에서 8000피트로 내려갔다. 여러 생각이 떠올랐다. 이게 마지막일 수도 있다는 걸 받아들여야 했다. 엔진이 들어왔다 나갔다 반복하더니 결국 작동됐다.”

 - 영화에선 허리까지 물이 찬 상황에서도 면도를 하는 여유를 보여준다.

 “전혀 그렇지 않았다. 진짜 폭풍 같았다. 온몸이 계속 젖어 있어 옷도 신발도 다 축축하니 우울함의 무게가 더해졌다. 그게 가장 힘들었다.”

 - ‘라이프 오브 파이’(2013, 리안 감독)도 바다에서 살아남는 얘기인데.

 “미안한 얘기지만 (그런 영화를) 본 적이 없어서 비교하기가 힘들다. 촬영이 마무리될 즈음에 ‘라이프 오브 파이’가 나왔다. 두 영화가 너무 다르고, 우리는 특수효과나 동물도 없어서 괜찮겠거니 하고 넘어갔다.”

 - 배우로서 상을 받는 것에 아직 관심이 있나. (그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보통 사람들’(1981)로 감독상을 받았고, 연기상은 ‘스팅’(1973)으로 남우주연후보에 그쳤다).

 “없다. 상은 언덕 위로 올라갈 때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언덕 꼭대기에서는 아닌 것 같다.”

 - 주인공이 길을 잃는다는 점에서 철학적 질문이 담긴 영화 같다.

 “많은 사람들이 길을 잃은 것처럼 느끼곤 한다. 어디에 닻을 내릴 수 있는 지, 발을 디딜 수 있는지. 답은 없다. 영화를 보고 관객들이 그 감정을 본능적으로 느낄 수 있길 바랄 뿐이다.”

뉴욕=NY중앙일보 이주사랑 기자

★ 5개 만점, ☆는 ★의 반 개

★★★★(김봉석 영화평론가):거대한 자연 앞에 홀로 선 인간은 초라하지만 위대하다. 노인의 생존을 위한 끈질긴 노동을 보며 가슴이 숙연해진다.
★★★☆(정현목 기자):시련이 거세질수록 노인의 생존 의지도 더욱 굳건해진다. 인간은 결코 쉽게 삶을 포기할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온몸으로 웅변한다.

망망대해에 홀로 조난당한 노인
대사·특수효과 없이도 화면 압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