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초청정책」에 신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유엔」에서 한국문제토의에 「이니셔티브」를 잡기 위해 이번 제26차 총회를 계기로 한국 단독 초청안의 문안표현에 상당한 신축성을 둘 방침이다.
김용식 외무부장관은 9일 동경에서 열리는 한일각료회담에 떠나기 앞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는 이번 「유엔」총회에서 한국문제가 중공의 「유엔」가입문제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을 고려, 초청안의 문안은 우방 각국과 협의, 이 안의 제안 당시 「유엔」의 분위기를 감안하여 표현에 있어 신축성을 둘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장관은 『그러나 북괴가 「유엔」의 권위와 권능을 수락해야만이 「유엔」에 참석할 수 있다는 종래의 전제조건을 고수한다는 정부의 근본방침에는 변경이 없다』고 말했다.
외교 「업저버」들은 초청안 문안표현의 완화는 사실상 북괴가 「유엔」에 동시 초청될 수 있는 전제조건의 완화로 해석하고있으며 이 같은 조치는 정부가 지금까지 주장해온 『북괴가 「유엔」의 권위와 권능을 수락해야 한다』라는 전제조건 하나만으로 「유엔」 회원국을 설득하기에는 어려운 국면에 처해있기 때문에 취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장관은 이밖에 『남한의 민주공화당을 포함한 모든 정당·대중단체 및 개별인사들과도 언제라도 접촉할 용의가 있다』는 소위 김일성의 남북접촉제의에 대해 『이는 정치성이 전무한 민간항공기를 납치, 송환하지 않는 판에 또 다른 만행을 저지르기 위한 북괴의 은폐수단이며 상투적인 선전효과를 노린 것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김장관은 『남북한의 대화를 위해서는 북괴가 먼저 8·15선언을 수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