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해에는…나의 설계와 소망-이기열<영양학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요 몇년째 식품위생, 영양의 문제가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지만 한국에 있어서의 식생활분야는 아직 처녀지. 조그만 「인스턴트」식품 하나도 엄밀한 검사와 연구를 거쳐 나오는 선진국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다.
연세대 가정대학 이기열 교수는 『우리나라 음식의 과학적인 분석도 되어있지 않은데 우리한국사람에게 어떤 종류 어떤 음식이 맞는지 알아낼 길이 힘들다』고 말하면서 우선 올해부터는 『한국고유의 음식을 문헌조사와 식품배합 상으로 하나하나 따져보겠다』고 했다. 이 교수는 종래까지 재료만 생각하고 연구했던 것을 나아가 조리된 음식을 놓고 과학성·비 과학성을 가려내겠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한 사람의 연구로는 할 수 없어 「팀」을 짜야하는데 역시 연구비가 문제라고 걱정하면서 그래도 이 교수는 앞으로 4, 5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비 부족은 학계공통의 고민인데 이 교수는 『연구비 「소스」가 현재 문교부·과학기술처와 기타외국에서 오는 것 등 모두 극히 제한된 액수인데다가 그 지급이 산발적이라 고정된 장기연구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식생활의 문제는 국가경제와 직결되는 것입니다. 국가의 식량정책은 단순한 수급보다 장·단기적으로 영양면을 중시하면서 과학적인 연구가 뒷받침이 돼야지요.』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행정체제가 너무 종적으로만 굳어 여러 분야의 횡적인 협조가 아쉽다고 했다.
식량정책만 해도 현재 농림부에서만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상공·보사·문교·경제기획원 등 다각도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담당행정관의 전공지식빈곤 때문에 곳곳에 자문위원회를 두기는 하지만 남의 「아이디어」를 빌어 한손 거치는 시책이라 오히려 효과가 적고 때로는 유명무실하게된다고 이 교수는 말하면서 『자문위원회 수준을 넘는 강력한 식품·영양연구기관을 두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가 단일체로 주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불량식품의 문제도 업자에게만 책임을 지워선 안됩니다. 요즘엔 쇠고기 돼지고기도 일부업자들이 방부제에 담가 팔고있는데 이런 문제는 누구한 사람을 처단해서 해결되지 않아요. 국가 백년대계를 짚는 철저한 신념이 아쉽습니다』 이 교수는 이러한 문제 해결책의 하나로 어렸을 때부터의 철저한 식품위생관념을 길러주는 영양교육을 국민교 교과과정에 넣고 소규모의 행상에서부터 대기업주에 이르기까지 보건·영양문제에 관한 성인교육의 실시를 들고있다.
특히 큰 기업체와 학계전문가들의 진지한 대화를 통해 공동연구로 노력해야한다고 했다.
『주부들은 식모의존시대를 벗어나야 합니다. 가정의 건강이 달려있는 부엌을 지켜야지요』 주부들이 직접 부엌에 들어간다면 영양문제는 물론 생활개선 부엌 개량까지도 쉽게 이룰 수 있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교수는 또 올해 한국인 체질에 맞는 비상식품을 연구해보고 싶다고 한다. 전국에 예비군이 있고 군비가 국가예산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비상식품의 연구가 안돼 있다는 것은 생각해볼 문제라고 했다.
전시뿐만 아니라 등산·여행 때 간단하면서 영향있는 식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예비군 훈련 때마다 밥을 짓고 국을 끓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실상 비상시에도 계속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일본여자대학과 미「조지아」주립대, 「코넬」대에서 식품 영양학을 연구해온 이 교수는 『일생의 연구』로 소금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미 10년전부터 계속하고 있지만 올해는 한국인체질에서는 소금을 얼마 먹어야하느냐는 필요량측정, 소금과 단백질과의 관계, 소금과 당질과의 대사과정 등을 연구과제로 정해놓고 있다. <윤호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