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족 외 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가족 외 가족의 의미는 가족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대가족 제도에서는 직계 가족은 물론 방계 혈족까지도 가족으로서의 유대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의 소가족 형태에서는 가족의 의미는 부부와 직계 자녀(때론 직계 조부모까지 포함하기도 한다)만으로 축소시켜 규정한다. 따라서 가족 외 가족에는 혈연관계가 전혀 없는 식모·가정 교사 같은 동거인 이외에도 혈연 친척까지도 포함된다.
친척이건 아니건 가족으로 새로 들어오는 딴 식구는 각기 제나름의 지위와 역할을 그 가정에서 차지하게 된다.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는데는 부모는 부모대로의 지위에서 직분이 있고, 자녀는 자녀대로의 권리와 임무를 수행해야하는 규율이 있게 마련이다.
마찬가지로 본래의 가족 성원 속에 새로 가입한 가족 외 가족도 그 가정에서의 자기 신분과 분수를 명백히 하지 않으면 가정의 질서는 유지되기 어렵다. 흔히 출세한 친척집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경우 자신의 신분을 그 가정의 사회적 신분으로 동일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는 친척집으로부터 경제적인 도움뿐 아니라 그 가정의 자녀와 같은 감정적인 대우까지도 기대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족 외 가족을 받아들이는 쪽에서는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그를 완전한 가족으로 융합해 줄 수 없을 터인데 그 자신은 가족으로서의 동등한 대우를 기대하는 까닭에 상호 갈등을 갖기 쉽다.
이화여대 사회학과 이동원 교수는 오늘의 사회나 가정적 여건으로는 친척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가정의 조화를 이루기는 어려우므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동거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불가피하게 동거하게 되면 상호 분명한 약속으로 가정에서의 신분과 대우를 명백히 해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친척을 받아들이는 가정 측에서도 분명한 약속이 없는 한 가정 교사나 머슴의 일을 하도록 기대할 수도 없다.
혈족이 아니면서 불가피한 존재로 각 가정마다 들어와 있는 식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요즘의 가정을 보면 식모의 신분은 식모로서 규정되면서도 역할은 주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몇몇 가정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주부는 아내·어머니·주부로서의 역할을 식모에게 미루고 단지, 성적인 역할만을 자신이 맡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식모의 아내로서의 역할이 식모가 분수에 넘는 행동을 하는 원인이며, 가정의 주도권을 식모가 장악하므로 주부와 갈등이 생기고, 거의 아내의 일을 대신하는 식모에게 남편이 성의 대상으로까지 생각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지론이다.
종의 신분에서는 벗어났으나 아직 직업인으로서 떳떳한 사회적 대우를 받지 못하는 식모는 그들대로의 불안을 지닌 채 여기저기로 전전하는 수가 늘고 있다. 이들에게 주부의 역할을 맡긴다는 것은 가정 속의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을 일으키는 근원이기도 하다. 가정의 주도권은 주부가 반드시 쥐고 있어야 한다고 이 교수는 강조한다. 이 교수는 식모 학대를 시부모·남편에게서 받은 굴종을 식모에게 해소시키는 행위로 보고, 폭 넓은 인격적인 대우를 해주되 식모의 신분과 역할을 명백히 해야한다고 말했다.
비교적 분명한 계약으로 들어오는 가정 교사의 경우도 계약된 것 이상으로 서로가 기대하게되면 문제가 생긴다. 가정 교사에게 심부름을 시킨다거나 자녀를 전적으로 맡겨 무거운 책임을 지우는 예도 흔하지만, 가정 교사를 공부와 관계없이 이성으로서의 역할까지도 하도록 기대하기도 한다.
가족 외 가족의 신분과 역할을 뚜렷이 규정하고 계약 관계를 철저히 지키는 것을 가정을 원만히 이끄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정영애 기자><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