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부동산 사업으로 수백억 이익 작년 국내로 유입, 세금 수십억 추징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김우중(77) 전 대우그룹 회장 일가가 속칭 페이퍼 컴퍼니(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회사)를 통해 베트남에서 부동산 사업으로 수백억원을 번 것으로 드러났다.

3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의 3남 선용(38)씨가 2009년 베트남의 ‘하노이시티 콤플렉스’ 개발 사업권을 한국의 롯데그룹에 매각, 수백억원의 이익을 거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국세청은 선용씨가 이익금을 국내로 들여온 사실을 확인해 선용씨 측으로부터 수십억원의 세금을 지난해 추징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토지 소유권은 국가에 있고, 개인은 사업권을 국가로부터 받을 수 있다. 하노이시티 콤플렉스는 하노이 중심가에 사무실·쇼핑몰·영화관 등이 들어가는 65층 건물(고도 195m)을 짓는 사업이다. 이 빌딩 부지는 하노이 중심가에 있고, 완공될 경우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 돼 사업 전망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개발 사업권은 표면적으론 2009년 7월 룩셈부르크 소재의 부동산 개발회사인 ‘코랄리스 S.A.’가 롯데자산개발에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그룹 측이 코랄리스 S.A.의 주식 40만 주(100%)를 697억원에 사들이는 인수합병(M&A) 형식이었다. 그러나 내막을 살펴보면 여러 국가와 다수 회사가 개입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코랄리스 S.A.는 2002년 2월 세워졌다. 비슷한 이름의 ‘코랄리스 인베스트먼트’는 2006년 6월 국내에서 설립됐는데 선용씨가 83%의 지분(2012년 현재)을 갖고 있다. 사정당국은 코랄리스 S.A. 매각 대금이 여러 단계를 거쳐 국내로 들어온 사실을 파악했다. 한 관계자는 “이 과정에서 매각 대금이 코랄리스 인베스트먼트를 거친 게 드러났으며 코랄리스 S.A.는 사실상 코랄리스 인베스트먼트의 관계회사”라고 말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이 회사의 2011년 감사보고서엔 “당사가 보유하고 있던 룩셈부르크 소재 코랄리스 S.A. 주식 7만4000주를 롯데자산개발에 128억9450만원에 양도했다”고 돼 있다. 코랄리스 S.A.가 등록된 룩셈부르크는 유럽의 대표적 조세 피난처(tax haven)다. 금융권 관계자는 “메일 박스(사서함)를 주소지로 하는 페이퍼 컴퍼니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사정당국에선 하노이시티 콤플렉스 사업에 김 전 회장의 옛 해외사업 파트너들이 깊숙이 개입했다고 분석한다. 한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의 사업권이 선용씨에게 넘어갔는지, 김 전 회장의 자금이 지원됐는지 조사 중”이라면서도 “이스라엘과 프랑스 관계자가 이 사업을 도왔기 때문에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코랄리스 S.A.의 대주주는 이스라엘 사업가인 아브라함 웅가로 전해졌다. 국제 해운업계에서 ‘라미’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웅가는 대우그룹 시절 대우자동차의 수출 차량을 운반하는 자동차 운반선(Ro-Ro) 사업으로 큰돈을 벌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도 김 전 회장과 친분이 깊다고 한다. 코랄리스 S.A.의 하노이시티 콤플렉스 사업 동업자는 프랑스의 대형 수송트럭 제조사인 로르 인더스트리였다. 양측이 베트남 정부로부터 사업권을 따냈던 2005년 외신들은 ‘김 전 회장이 로르 인더스트리의 해외사업 컨설턴트로 활동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지난달 25일 뉴스타파는 93년 김 전 회장이 따낸 베트남 반트리 골프장 개발 사업권이 페이퍼 컴퍼니를 거쳐 선용씨에게 넘어간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골프장의 가치는 640억원대에 이른다고 뉴스타파 측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대우그룹 출신 관계자는 “김선용씨는 해외 발생 소득을 세무서에 신고해 그에 따른 세금을 납부한 것”이라며 “해외에 유령회사를 세워 재산을 숨긴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뉴스타파가 보도한 반트리 골프장 지분과 관련한 세금도 이미 납부했다”고 말했다. 또 “당초 코랄리스 S.A.가 독자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려고 했으나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 후 돈이 없어 이스라엘 투자자를 구했다. 그런데 이스라엘 측도 어렵다고 해 개발 사업권을 매각했다”고 덧붙였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코랄리스 S.A.는 이스라엘 자본이 대주주인 회사이며 김선용씨 지분이 일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계약은 정당한 절차를 거쳤고 이를 외부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김 전 회장은 분식회계·사기대출·횡령 등 혐의로 법원으부터 17조9253억원의 추징금을 선고받았다. 8월 현재 김 전 회장으로부터 거둔 추징금은 887억원밖에 안 된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관련기사
▶ 선용씨 소유한 회사 가보니 "2년 전엔 포차 있었는데…"
▶ 17조 8000억원 중 887억원 환수…김우중 추징금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