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어쩌나 … 이번엔 777기 엔진 결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 보잉사가 또다시 항공기 결함 문제로 골머리를 앓게 됐다. 787기 배터리 결함에 이어 777기(사진)의 일부 엔진에도 이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CNN머니는 보잉 777기의 제트엔진 납품회사인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이 자사가 만든 엔진(GE90-115B) 일부에 문제가 생겼음을 시인했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잉과 GE는 올 2월과 5월 비행 중이던 보잉 777기의 엔진이 멈추는 사고가 두 차례 발생해 조사를 벌였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당시 비행 중이던 러시아의 아에로플로트와 중국 에어차이나 항공기의 한쪽 엔진이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나머지 한쪽 엔진은 정상 작동해 추락을 면할 수 있었다.

 문제는 지난해 9월과 올해 3월 사이에 생산된 118개의 트랜스퍼 기어박스(변속장치)에서 발생했다. 트랜스퍼 기어박스는 엔진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 중 하나로 터빈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기어박스는 이탈리아 아비오사(社)가 제조한 것으로, 운항 중인 26대의 ‘777-3000ER’ 항공기에 장착됐고 나머지는 생산 중인 44대의 항공기에 들어갔다. 릭 케네디 GE 대변인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면서도 “비행 도중 엔진이 꺼졌던 두 사건 모두 기어박스에 금이 간 채로 발견돼 금속합금의 결함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로 운항 중단 사태를 빚은 보잉 787기가 전일본공수(ANA)의 시험 비행에서 또 문제를 일으킨 사실도 뒤늦게 드러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새로 설계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ANA 소속 보잉 787기에서 배전반이 과열되는 사고가 이달 초 일어났다. ANA 측은 “배전반에 전선을 연결하는 너트가 보수 과정에서 제대로 조여지지 않아 생긴 ‘사소한 일’”이라며 “다른 기종에서도 발견되는 문제이고 리튬이온 배터리와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보잉사는 시험 비행한 787기 화재 여부와 관련해선 아무런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지난 1월 보잉 787기가 두 차례 문제를 일으킨 후 미 연방항공청(FAA)은 ‘내항성 확인명령(AD)’을 내리고 이를 실행하기 전까지 787기 인도를 중단하도록 조치했다. ANA는 현재 총 17대의 보잉 787기를 보유 중이며 다음 달 1일 운항재개를 계획하고 있다.

채승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