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공무원만 행복한 사회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중앙에 이어 지방 공기업도 공무원들의 ‘노후 보장 수단’이란 사실이 새삼 드러났다. 본지 조사에 따르면 16개 광역 지자체 산하 46개 공사·공단 임원 가운데 공무원 출신이 55.6%였다. 공사 사장과 공단 이사장만 따지면 무려 61%나 됐다. 대구시가 가장 심해 공기업 임원 10명 중 8명이 공무원 출신이었고, 대전과 부산시도 10명 중 7명꼴이었다.

 공무원 출신이 많다는 게 문제라는 건 아니다. 설령 공무원이라고 해도 정당한 경쟁을 통해 능력 있는 사람이 선임됐다면 뭐가 문제겠는가. 우리가 지적하는 건 그렇게 운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선임 절차가 대단히 불공정하며, 그 이면에 숨어 있는 공무원들의 ‘끼리끼리’ 의식과 특권 의식이 문제다. 이미 공무원 사회에선 공기업은 자신들이 퇴직 후 갈 자리라는 인식이 뿌리 깊게 박혀 있다. 2급 공무원은 사장, 3~4급은 임원이라는 등식이 그것이다. 그러니 아무리 공채 형식을 갖춰도 실제 운용은 불공정하게 진행된다.

 더 큰 문제는 이로 인해 낭비되는 국민 세금이다. 선배 공무원이 임원으로 가 있으니 후배 공무원이 제대로 감시하기 어렵다. 또 공무원 도움을 받아 임원이 됐으니 지자체가 요구하는 건 다 들어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방 공기업이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사업을 마구 벌이는 이유다. 지방 공기업이 엄청난 부실에 허덕이고 있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 때문이다. 한 민간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지방 공기업 가운데 10곳 중 4곳은 수익으로 빌린 돈의 이자도 못 낼 정도다. 최근 8년간 누적 순손실이 무려 3조원이다. 부채는 68조원으로 지방예산의 절반이나 된다. 이런 공기업이 만일 파산하면 지자체가 다 물어줘야 한다. 물론 그 돈은 국민 세금이다.

 더 이상 이런 행태가 방치돼선 안 된다. 공무원만 행복한 사회가 ‘국민행복 시대’가 아니지 않은가.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무분별한 낙하산 인사와 터무니없는 전관예우는 더 이상 용인돼선 안 된다. 선임 절차도 고쳐야 하고, 공무원들의 ‘끼리끼리’ 의식도 확 바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