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반대, 중국 모든 인권운동가 투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장리쥔

북핵 반대운동에 중국 인권운동가들이 합류했다. 인권과 핵 문제가 별개가 아니라는 공감대가 깔려 있다. 장리쥔(姜力鈞·47) 중국민간반핵클럽 총간사는 26일 중앙일보와 전화 인터뷰에서 “앞으로 중국 내 모든 인권운동가와 힘을 합해 북핵 반대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0일 “북한이 또 핵실험을 하면 중국 인민해방군이 보복 타격을 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었다. 인권운동가이기도 한 그는 현재 뇌종양을 앓고 있다. 그는 2003년 11월 민주개혁을 주장하다 국가전복 혐의로 4년 동안 옥살이를 하는 등 지금까지 세 차례나 복역한 경험이 있는 행동파 민주인사다. 현재 랴오닝(遼寧)성 톄링(鐵?)시에서 반핵운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외국 인터넷에 인권 관련 글을 올리는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북핵 반대 활동을 하는 이유는.

 “북핵은 중국 동북지방 사람들에게는 생존의 문제다. 언제 방사성 물질이 우리의 생명을 위협할지 모른다. 지난해 12월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뇌종양 판정을 받고 여생을 북핵 반대운동에 바쳐야겠다는 결심을 굳히고 단체를 결성했다. 물론 중국 등 핵 보유국들의 핵 개발 자제운동도 같이한다.”

 -원래 인권운동가 아니었나.

 “북핵은 북한과 중국인, 나아가서는 동북아 전체 인권을 철저히 파괴한다는 사실을 모두가 알아야 한다. 핵과 인권 문제는 결국 같은 문제다. 북한 정권은 자국민들의 인권을 탄압하고 오로지 세습 정권 유지만을 위해 핵을 개발하는 전 인류의 타도 대상이다.”

 -최근 발표한 성명서에서 북한에 대한 무력 공격을 주장했다.

 “6자회담의 성과가 있나. 어차피 북한은 대화가 안 되는 집단이다. 무력 외엔 대안이 없다.”

 -민간반핵클럽의 향후 계획은.

 “지난번 성명서는 내가 작성했고 인권운동가 10여 명이 뜻을 같이했다. 네티즌들이 참여해 회원은 총 100여 명이다. 앞으로 중국의 모든 인권운동가 등 민주인사들을 참여시킬 계획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매일 수십 명씩 동조자들이 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감시를 받지 않나.

 “지금까지 북한 핵 반대 시위를 수차례 벌였다. 이때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다. 정부도 (북핵에 대해) 속으로 끓고 있는데 이를 대신해 주니 저지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

최형규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