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광복에서 번영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9세기적인 식민주의는 이미 시대의 유물이 되어 버렸다고 하지만, 50년대 후기 이후의 국제 사정의 전변은, 전후 질서와는 달리 국가 권익의 증대를 위한 냉엄한 경쟁을 점익 강화시키고 있다. 「유엔」의 권위나 동맹 국가의 우호적 지원에만, 의존해 온 감이 없지 않았던 한국도, 이제부터는 자주적 역량을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국제사회에의 참여 없이는 촌시도, 그 존립과 발전을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대미 관계도 미국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 피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버젓하고 합리적인 이해 조정이라는 관점에서 재 조정되어 가야 할 것이다. 대일 관계는 수교1년 간에 이미 번다 한 난제들을 제기시키고 있다. 경제 거래면 의 불평등과 불균형은 고사하고라도 기본 조약의 정신조차가 논의될 정도로, 일본의 정략과 상략은 그들의 주동 성을 관철코자 갖은 책동을 일삼고 있다. 호혜 평등의 원칙을 주체적으로 밀고 나갈 수 없는 한, 광복의 영광은 또다시 퇴색될 우려가 없지 않은 것이다.
대외적인 국가의 위신은 결국은 국력의 배양을 그 바탕으로 한다. 금년은 1차5개년 계획의 목표 년도이지만은 약간의 건설에 현혹되느니 보다는, 국민경제의 설체적 기반이 아직도 취약하며, 건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의 불합리 때문에 계층적」부문간의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주시할 단계에 이르렀다.
민족적 역량의 끊임없는 축적은 사회적 통합을 그 토대로 하여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적 균형이 지속적으로 조정되어 갈 수 있도록 국가의 정책이 그것을 유도해 가야 할 것이다.
8·15의 감격과 6·25의 비참을 구두에 올리는 대신, 성년이 된 국가와 국민으로서 번영에의 장기적인 구도와 그 현실을 위한 각고의 정려가 있어야 한다. 도약을 말하기 전에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튼튼하게 쌓아 올려야 할 것이며, 기대를 꿈꾸는 대신 오늘의 현실을 냉철하게 타개해 가야 할 것이다. 그 속에 광복의 의미가 날로 새로워질 수 있고, 그 결과로 통일의 자유는 절대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