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근혜 핸드백' 보도 뒤 대변인이 보낸 문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허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지난 2일 오후 6시 인수위 출입기자들에게 조윤선 대변인 명의로 문자메시지가 왔다. ‘최근 박근혜 당선인이 사용하는 가방은 국산 고가 브랜드 제품이 아니며, 국내 한 영세업체가 작은 가게에서 만든 저렴한 가격의 제품’이라는 내용이었다.

 왜 이런 문자가 왔을까. 인터넷을 보니 주요 포털의 검색어 1위가 박근혜 당선인이 들었다는, 타조 가죽으로 만든 회색 가방의 브랜드(‘호미가’)였다. 인터넷 반응은 대충 세 갈래로 나뉘었다. “대통령이 국산 브랜드를 쓰는 건 좋은 일”이라는 ‘옹호형’, “명품백은 대한민국 여성의 생활필수품”이라는 ‘야유형’, “서민 행세 박근혜 초고가 명품백 논란” 같은 ‘의혹 확대재생산형’ 등이었다.

 논란은 호미가 대표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딱 봐도 우리 것이 맞다”고 주장한 데서 비롯됐다. 회사 관계자는 모델명을 언급하며 “가격은 128만원”이라고까지 했다. 일단은 노이즈 마케팅이 빚은 해프닝으로 보인다.

 하지만 논란을 키운 건 한국의 정치문화다. 박 당선인이 호미가 가방을 드는 걸 죄인 보듯 하는 문화 말이다. 돌아보면 이런 일은 수두룩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전 대통령 후보의 경우 명품 의자에서부터 명품 안경, 명품 패딩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하느라 진땀을 빼야 했다.

 2007년 대선 때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부인 김윤옥 여사가 주요 타깃이었다. 김 여사가 명품 에르메스 가방을 들었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 대통령은 “잘못됐다”고 사과까지 했었다. 당시 민주당 김현미 대변인은 김 여사가 ‘1500만원 상당의 고가 명품 시계를 쓴다’고 했다가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지난해 설 연휴 때는 이 대통령의 손녀가 입은 패딩이 명품 몽클레르라는 이유로 비판이 쏟아지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손녀도 명품 버버리 코트·원피스를 입었다는 반박에 부닥쳐 전·현직 대통령 손녀들 외투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명품을 쓴다고 해서 죄인처럼 만들어 버리는 풍토. 이젠 아닌 것 같다. 국가를 대표하는 지도자들, 그의 배우자나 친인척들은 과연 꼭 중·저가만 써야 하는 것일까.

 대한민국 최초이자 세계에서도 드문 독신여성 대통령이 국산 브랜드를 입고 정상회담에 참석해 화제를 모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 브랜드는 얼마나 큰 광고효과를 낼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부인 미셸이 이미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뉴욕 신예 디자이너의 옷을 주로 입는 그의 패션이 화제가 될 때마다 해당 브랜드의 가치가 같이 뛴다. ‘미셸 스타일’이 가져다 주는 경제적 가치는 30억 달러(약 3조2850억원)가 넘는다고 한다. 박 당선인은 물건을 오래 쓰기로 유명하다. 구두를 10년 넘게 고쳐가며 신는다는 얘기도 있다. 생각을 뒤집어 보자. 서민 풍모도 좋지만 세계 10위권 경제규모 국가의 지도자라면 세계의 주목을 받는 패션 리더가 되는 게 나라에 더 이익이 되지 않을까.

허 진 정치국제부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