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기자실 해킹’ 오락가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7일 서울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공동기자회견장 안쪽에 설치된 인터넷서버. [인수위사진취재단]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선 17일 북한의 기자실 해킹시도 여부를 놓고 혼선이 빚어졌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인수위원과 직원은 국가정보 통신망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인수위 기자실은 상업용 인터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 해킹 시도에 취약하다”며 “보안 당국에서 기자들이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패스워드를 자주 교체할 것을 인수위 행정실에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기자실 해킹시도가 실제로 있었는지에 대해선 “국가보안 문제를 언급하는 것은 신중해야 하기 때문에 말할 수 없다”고 확인을 거부했다.

 브리핑에 배석한 임종훈 행정실장 역시 “며칠 전 보안당국에 요청해 인수위에 대한 보안점검을 했지만 북한의 소행이 있었는지 아닌지 확인이 안 된다”고 했다.

 앞서 인수위 관계자는 비공식 브리핑을 갖고 “정보당국에서 인수위 전체 보안점검을 한 결과 기자실 쪽에 북한 측이 해킹을 시도하거나 해킹이 된 사실이 포착됐다”고 말했다. “기자실이 있는 삼청동 한국 금융연수원 본관에서만 북한 측의 해킹 시도 정황이 있었고 인수위원회 사무실이 있는 별관은 괜찮았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잠시 후 “해킹 포착이나 북한소행이라는 건 비약”이라며 “해킹을 방지하자는 의도에서 한 얘기로 이해해 달라”고 말을 바꿨다.

 전문가들은 북한 측의 사이버테러가 빈번해지고 있어 해킹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5년 전에도 삼청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됐던 이명박 당선인 인수위 사무실에 해킹을 시도했다고 한다. 최근 인수위의 보안점검도 5년 전 해킹 경험에 따른 예방 차원이다.

 이화여대 조동호(북한학) 교수는 “북한은 늘 한국 대선이나 정부에 관심이 있었다. 차기 정부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궁금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김정현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충분한 조사도 없이 인수위에 대한 해킹이 북한 소행이라고 단정한 것 아니냐”며 “이런 일이 대한민국 대통령직인수위에서 일어났다니 창피하다”고 꼬집었다.

이소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