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징 태극기 국기로 부적합

중앙일보

입력

"태극기는 주체성이 결여된 반민족적인 국기일 수 있다." 민족의 상징물인 태극기에 대해 독설을 퍼붓는 신간 『태극기의 정체』 의 저자 김상섭(48) 씨는 국립대만대학에서 주역(周易) 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다.

태극기가 한국의 상징물이 되기에 부족한 이유를 정리한 이 저술에서 저자는 두 가지 문제점을 제시한다.

하나는 태극기의 구성요소이자 주역의 핵심요소인 태극.음양.괘가 우리 민족과 일단 무관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국기로 선정되는 과정에 청나라와 영국 등 강대국의 입김이 세게 작용했다는 의사결정 과정 상의 몰주체성이다.

먼저 태극기의 연원인 주역에 대한 중국의 역사적 그림들을 저자가 고증하는 과정은 굳이 저자의 거친 정체성 강조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흥미있게 읽히는 부분이다.

예컨대 주역을 그림으로 표현한 '선천도(先天圖) '계통 가운데 하나인 북송(北宋) 시대 소옹의 '복희팔괘방위도(伏羲八卦方位圖) '가 명나라때의 '고태극도(古太極圖) '로 발전했고 이것이 조선 말에 태극기로 변형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주역의 점치는 과정을 표현한, 이름도 낯선 그림들을 한국 국기로 삼을 이유가 없다"고 말한 대목은 논란의 소지가 있을 듯싶다.

우선 '주역=중국 것=점치는 책'이란 단순한 등식은 주역의 해석사를 보는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다른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저자도 지적하듯이 주역은 점치는 책으로 출발했지만 점차 자연과 인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동양적 사유의 핵심으로 발전했다.

그렇다면 우리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대단히 철학적인 의미를 함축한 도형(圖形) 을 담은 국기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신간은 '주역으로 본 태극기의 연원'으로 보면 재미있게 읽힐 수 있다. 물론 태극기 선정과정에서 청나라의 제안으로 '고태극도'가 채택된 후 다시 박영효 일행이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영국인 선장의 교정으로 모양이 바뀌는 등의 이야기는 '비애'로 다가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