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홍구의 거리문화 읽기] 춤추는 풍선인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당연한 일이겠지만 세상은 늘 자신 안에 인간에 대한 풍자 혹은 징후를 담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보여준다. 테러로 폭파된 뉴욕의 세계무역센터가 그렇고 최근 세상을 시끄럽게 하는 이모씨 사건이 그렇다. 이 풍자와 징후들을 겸허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대강 읽고 덮으려 들면 그 끝에는 대개 진짜 파멸이 자리잡고 있다.

이것들보다 훨씬 규모가 작은, 거리의 광고도 마찬가지다. 최근 거리의 광고들은 우리가 춤 권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 춤이 댄스 그룹의 잘 훈련된 춤이든, 무도장의 춤이든, 주식 시세와 아파트 가격의 등락에 맞춘 춤이든 여하튼 모두 다 춤을 추고 있다. 대개는 돈의 리듬에 맞춰 우르르 몰려 떼춤을 추고 다시 우르르 빠져나온다.

그 춤판에 끼지 못해 안달인 사람도 있고, 춤을 추다 쓰러진 사람도 있고, 다 춘 뒤에 넘어져 다시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과 말도 안되는 춤을 늙도록 추는 사람도 있다.

그 춤판은 거리에서도 벌어진다. 지하철 역사 같은 곳에 모여 열심히 연습하는 아마추어 댄스 그룹들만이 그런 것은 아니다.

화장품 가게.식당.빵집.슈퍼마켓 등 거의 모든 곳이 새로 개업을 하거나 행사를 할 때 춤을 동원한다. 이벤트 회사 소속임이 분명한 짧은 치마를 입은 젊은 여자들이 가로 세로 뛰면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전단을 나눠준다.

그 춤판과 젊은 여자들의 비음이 섞인 독특한 발음은 그 자체로 훌륭한 구경거리지만 그보다 더 눈길을 끄는 것은 그 뒤에서 춤을 추는 풍선인간이다.

풍선 인간? 이렇게 불러도 될까. 뭔가 다른 이름이 있겠지만 아직 텅빈 몸을 뚫고 지나가는 바람에 맞춰 춤을 추는 그 놀라운 키네틱 조각의 이름을 모르므로 그냥 풍선인간으로 부르기로 하자.

풍선인간의 구조는 간단하다. 길다란 비닐 속을 기계로 불어 넣은 바람이 빠져나가면서 춤을 추게 만든다.

그 춤은 기계적인 것도 자연적인 것도 아니어서 바라볼수록 기묘한 느낌이 든다. 그리고 무엇보다 끊임없이 그 텅 빈 내부를 지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꺾였다 다시 바로 서는 과정들이 눈길을 붙잡는다. 물론 그것은 단순한 흥밋거리가 아니다.

왜냐하면 보면 볼수록 그 춤이 우리의 삶에 대한 통렬하고 날카로운 풍자로 보이기 때문이다.

속이 텅 빈 채로 몸 속을 뚫고 지나가는 바람에 따라 온몸을 꺾어 가며 춤을 추다가 모터가 멈추면 그대로 스르르 무너지는 풍선 인간. 즉 그 춤은 자신의 춤이 아니며 무엇인가에 의해 강제된 춤이라는 것을 너무나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맨 처음 그것을 만든 제작자는 그럴 의도가 전혀 없었을 것이다. 그것을 사다 광고에 쓰는 사람들도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풍선인간은 세상이 사람들에게 보내는 풍자, 혹은 징후임에 틀림없다.

입력시간: 2001. 10.09. 16:10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