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 안하면 자원봉사 시키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투표자는 공무원 시험 등에 혜택을 주고, 투표하지 않는 사람은 자원봉사를 시키면 어떨까요.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10일 일반 국민을 상대로 정책 제안과 18개 부처 장관에 대한 인사 추천 접수를 시작했다.

인터넷 접수 창구인 노무현 대통령당선자의 홈페이지(www.knowhow.or.kr)에는 정책 제안 7백여건과 인사 추천 1백80여건이 접수됐다. 세종로 중앙청사 별관에 마련한 오프라인 접수 창구에도 2백20여건의 제안이 들어왔다.

인수위가 추천인의 신분이 노출될 것을 우려해 공개하지 않은 장관 인사 추천에는 언론에 총리 후보로 거론된 거물급부터 잘 알려지지 않은 지방대 학장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한 네티즌은 "농민운동을 열심히 해 지역에서 상당한 명망이 있는 분"이라며 농림부 장관 후보를 추천하기도 했다.

국민참여센터 박종문 부본부장은 "인기몰이를 위해 다중을 동원하거나 추천자를 음해하는 내용 등은 거의 없다"면서 "추천 건수가 많고 적음은 고려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책 제안을 위해 국민제안센터를 찾아 '참전용사 전상자 등급에 포함시켜 달라'는 건의를 적어낸 권진홍(57.경기도 안양시 석수2동)씨는 "그동안 하소연할 곳이 없었다"며 "건의가 꼭 받아들여지지 않더라도 좋은 시도 같다"고 말했다.

인수위에 접수된 정책 제안 중에는 "청와대 뒷산 등산을 허용하라"거나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 등이 길을 잃을 경우 보호조치를 받는데 그 자료를 전국적인 등록망에 올려 누구나 검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다. 인터넷으로 접수한 한 시민은 "112, 119 등 긴급전화를 통합 운영하자"는 의견을 내놨다.

盧당선자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우체국 집배원 전용 1인용 배달차를 만들어 달라" "정치개혁을 위해 고향에서는 국회의원 출마를 못하게 하자" "흡연면허제를 도입하자"는 등의 이색 제안이 속출했다.

盧당선자는 개소식 격려사에서 "합리적 인사검증 시스템이 부족해 공정성과 객관성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판단, 부득이 공개적 검증을 거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사진=조용철 기자 <youngc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