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문가 칼럼] 아파트 화재 예방 이렇게 하세요

    [전문가 칼럼] 아파트 화재 예방 이렇게 하세요

    아파트 화재는 초기진압이나 대피가 지연됐을 경우 귀중한 인명과 막대한 재산피해는 물론 연소확대 시 위층 또는 옆집으로 화재가 번질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입주민들의 대처 능력이

    중앙일보

    2013.06.07 00:05

  • 시민정신 발휘할 ‘디지털 멍석’을 깔아주다

    시민정신 발휘할 ‘디지털 멍석’을 깔아주다

    지난해 11월 1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연설하는 제니퍼 폴카. ‘코드 포 아메리카’를 세운 그는 2011년 미국의 온라인 미디어 허핑턴포스트가 뽑은 ‘경영·기술

    중앙선데이

    2013.03.30 22:56

  • 우즈 동네 고급주택 이사한 최나연, 신발장엔

    우즈 동네 고급주택 이사한 최나연, 신발장엔

    최나연이 지난 4일 미국 올랜도의 새집에 입주했다. 1고급스러운 입구 2심플한 장식의 침실 3거실 소파에 앉아서 집을 소개하는 최나연의 모습.고급주택단지 입구에서 경비원이 출입자의

    중앙일보

    2013.01.28 00:14

  • 시골 닭장수 중견그룹 오너 되다

    관련사진경북 구미시에 있는 섬유업체 TK케미칼 생산공장에서 우오현 SM그룹 회장이 포즈를 취했다.부친은 전남 고흥의 이름 없는 소농(小農)이었다. 자식들 학비를 대려면 얼마 되지

    중앙일보

    2011.06.12 03:04

  • B동 18층 소화전 버튼 누르자 컴퓨터엔 18층 단면도 떠 올라

    관련기사 한국, 방화관리자 30만 명 있어도 화재훈련 안 하면 헛일 국내 31층 이상 초고층 건물 248개 1일 발생한 부산 해운대 38층 주상복합건물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빌딩

    중앙선데이

    2010.10.10 02:20

  • 한국, 방화관리자 30만 명 있어도 화재훈련 안 하면 헛일

    한국, 방화관리자 30만 명 있어도 화재훈련 안 하면 헛일

    관련기사 국내 31층 이상 초고층 건물 248개 B동 18층 소화전 버튼 누르자 컴퓨터엔 18층 단면도 떠 올라 최준호: 부산 주상복합아파트 화재가 이번 토론을 마련하게 된 계기

    중앙선데이

    2010.10.10 01:04

  • 그제는 전기 이상, 어제는 소화전 오작동 … 하늘길 언제쯤 ?

    그제는 전기 이상, 어제는 소화전 오작동 … 하늘길 언제쯤 ?

    9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남열해돋이해수욕장에 나로호의 발사 연기 소식이 전해지자 한 관람객이 모래사장 위에 꽂아 둔 태극기 옆에서 아쉬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오후 5시로 예

    중앙일보

    2010.06.10 01:49

  • 우즈의 스윙, 날 바짝 섰네

    우즈의 스윙, 날 바짝 섰네

    “요즘 우즈의 게임 능력은 회칼(sushi knife)처럼 날카롭다.” 지난해 11월 불륜 스캔들 이후 필드 복귀를 눈앞에 둔 타이거 우즈(35·미국·사진)의 스윙을 두고 그의 동

    중앙일보

    2010.04.02 00:30

  • "단 한 번의 화재로"…향일암 피해 왜 컸나

    '일출 명소' 여수 향일암에서 발생한 화재는 인적이 끊긴 시간대에 강한 바람을 타고 발생해 피해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매서운 추위로 곳곳이 얼어붙은 것도 조기 진화에 걸림돌로

    중앙일보

    2009.12.20 15:50

  • 자꾸 나오는 여자 … 우즈 난리났군

    자꾸 나오는 여자 … 우즈 난리났군

    타이거 우즈(34)가 친 아이언 커튼이 완전히 젖혀지고 있다. 미국의 ‘라이프&스타일’지는 우즈가 라스베이거스 나이트클럽 매니저인 칼리카 모킨과 10월 말까지 밀애를 했다고 4일

    중앙일보

    2009.12.05 00:42

  • 우즈 “아내가 내 휴대폰 추적 … ” 내연녀에게 음성메시지 남겨

    “아내가 내 휴대전화를 추적하고 있어.”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34)의 불륜 행각이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 미국 주간지 어스위클리(Us Weekly)는 우즈가 내연녀에게 보낸

    중앙일보

    2009.12.04 03:14

  •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클리닉 지하철 승강장, 줄이고 모으고 비우자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클리닉 지하철 승강장, 줄이고 모으고 비우자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시, 5개 광역시, 수도권 광역노선상의 5개 도시 등 11개 도시의 시민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중 서울지하철은 연간 수송량에서 세계 3위입니다. 지하

    중앙일보

    2009.08.14 02:26

  • 미국 명문대에 가보니 ①

    미국 명문대에 가보니 ①

    7월 15일 오후 6시, 보스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직업병일까. 미국을 방문할 때마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학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라든가 ‘지

    중앙일보

    2008.09.22 13:14

  • 경보장치 하나 없어 화재 무방비

    불이 난 숭례문은 조선 초기 목조 건축물로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귀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이 ‘국보 1호’가 방화 등 돌발적인 화재 위험에 노출돼 온 것으로 드러났다. ◇

    중앙일보

    2008.02.11 04:34

  • 주·정차 단속 8가지 오해와 진실

    "차 안에 운전자가 타고 있으면 단속을 안 한다?" "구청에서 물리는 과태료는 버텨도 된다?" 주정차 단속을 둘러싸고 운전자들이 오해하기 쉬운 8가지 사항을 질의 응답 형식으로 정

    중앙일보

    2007.04.17 11:05

  • 2년 전 식목일에 불탔던 낙산사 지금은 …

    2년 전 식목일에 불탔던 낙산사 지금은 …

    "암막새의 용 무늬가 생각만큼 안 나왔습니다." "탁본이 선명치 못해 그런 것 아닐까요?" 4일 오후 강원도 양양 낙산사 종무실. 정념 주지스님과 문화재 전문위원인 현고 스님,

    중앙일보

    2007.04.05 04:30

  • 대한민국 도시는 클린 열풍 '공공디자인 산책' 7개월

    대한민국 도시는 클린 열풍 '공공디자인 산책' 7개월

    본지가 우리 사회의 공공디자인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자는 취지로 지난해 7월부터 연재해 온 ‘공공디자인 산책’이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경기도 파주시를 비

    중앙일보

    2007.02.28 04:55

  • 서울 시내 고시원 직접 가보니 …

    서울 시내 고시원 직접 가보니 …

    전날 8명이 사망한 서울 잠실동 나우고시텔 화재현장에서 20일 경찰과 소방당국이 현장감식을 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여기 사람들 대부분은 하루 벌어 하루 사는 일용직 근로자들이지

    중앙일보

    2006.07.21 05:14

  • [Family] 붕어빵 동네 놀이터 ? 여기는 환상의 예술동산

    천편일률적인 동네 어린이놀이터가 전 세계에서 하나뿐인 예술동산으로 탈바꿈했다.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주택가에 자리 잡은 '나는 까치'놀이터 얘기다. 지난해 8월 시흥시의 놀이터

    중앙일보

    2006.06.06 22:43

  • [사설] 세계문화유산에 소화전도 없다니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의 대표적 누각인 서장대가 방화로 잿더미가 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발생했다. 현장에서 붙잡힌 방화 용의자가 "카드빚 3억원으로 고민하다 소

    중앙일보

    2006.05.02 00:11

  • 소방차 막은 '겹주차' 아파트 화재 키웠다

    아파트에 불이 났으나 단지 내 이중 주차된 차량들 때문에 소방차의 진입이 늦어져 사상자가 11명이나 되는 큰 사고로 번졌다. 게다가 위층으로 대피한 주민들은 옥상으로 통하는 문이

    중앙일보

    2003.06.26 18:15

  • [긴급진단 지하철 안전실태] 驛舍·객차 방재법규 제각각

    제각각인 소방 법규, 이원화된 운행 관리방식, 형식적인 재난 훈련-. 지하철이 안전 무방비로 내몰리는 것은 눈에 보이는 하드웨어뿐 아니라 허술한 지하철 관련 법령이나 엉성한 운행

    중앙일보

    2003.02.21 18:31

  • [외국인칼럼] 상용한자를 만든 까닭

    한국어에 어느 정도의 한자를 남겨두는 것은 바람직한 일일까□ 한국의 친구들, 심지어 서울에 온 중국인 교수들도 내게 종종 묻는 문제다. 나는 일정한 수의 한자를 한국어에 남겨둬야

    중앙일보

    2001.05.26 00:00

  • [소방관 25시] 上. 하루꼬박 뜬눈 대기

    "시민들 목숨을 구해낼 땐 정말 보람이 크죠. 하지만 우리의 노력을 알아주지 않을 땐 '왜 이 일을 하나' 할 정도로 서글퍼지기도 해요. " 1987년 소방관이 된 서울 관악소방서

    중앙일보

    2001.03.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