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석재의천문학이야기] 북한 핵실험과 별

    우주는 92가지 원소로 구성된다. 가장 가벼운 원소는 수소이고 가장 무거운 92번째 원소는 우라늄이다. 수소처럼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들은 모여서 커지고 우라늄처럼 무거운 원소의

    중앙일보

    2006.10.13 20:45

  • [달달무슨달] 下. 달과 미술

    [달달무슨달] 下. 달과 미술

    "나는 그의 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불쌍한 달…."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에서 주인공 다혜는 달을 보며 짝사랑하는 남자에 대한 심정을 이렇게 읊조립니다. 다혜에게 달은, 관심

    중앙일보

    2006.10.03 20:40

  • 미국 과학자, 외계인 존재 후보 별 10개 선정

    미국 과학자, 외계인 존재 후보 별 10개 선정

    지능을 가진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어느 별 근처가 될까. 최근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미국 카네기연구소 마거릿 턴블 박사는 'ET의 고

    중앙일보

    2006.02.23 21:08

  • [me] '왕의 남자'의 여장남자 이준기

    [me] '왕의 남자'의 여장남자 이준기

    '별들의 고향' 대중문화의 하늘에는 자고 나면 언제나 새 별이 뜹니다. 저 별은 누구의 별일까. 어디서 왔을까. 새 별이 뿜어내는 영롱한 빛을 따라 신세대 스타의 잠재력을 점쳐

    중앙일보

    2006.01.04 21:21

  • [신문에 밑줄 쫙 NIE] 공기 없는 달에서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신문에 밑줄 쫙 NIE] 공기 없는 달에서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지난달 19일 미 항공우주국(NASA)이 2018년 우주인 네 명을 달에 보내 화성 탐사를 위한 우주 전진기지를 건설한다는 내용의 새 우주탐사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NASA가 공

    중앙일보

    2005.10.11 15:35

  • [2005 중앙신인문학상] 소설 부문

    [2005 중앙신인문학상] 소설 부문

    ▶ 그림=강경구 ……여기 앉으면 되나요? 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잘 부탁드립니다. 기분이 어떠냐고요? 네, 아주 좋아요. 왜냐하면 선생님 같은 분을 만났으니까요.

    중앙일보

    2005.09.20 21:1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의 가치

    성경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말로 시작한다. 이 '태초에'라는 구절의 히브리 원어(영역)를 보면 'in the beginning of'로 돼 있다. 이는 'i

    중앙일보

    2005.03.17 18:31

  • '제2 안네 일기' 60년 만에 햇빛

    '제2 안네 일기' 60년 만에 햇빛

    ▶ 페트르 긴츠가 그린 "달 풍경" 그림. 2003년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에 탄 이스라엘 우주비행사 일란 라몬 대령이 그림 복사본을 갖고 갔다.콜럼비아호는 귀환 도중 폭발,라몬 대

    중앙일보

    2005.01.28 18:57

  • [삶과 문화] 느낌

    밤이 늦어서야 도반의 암자에 도착했다. 암자에는 불빛 하나 보이지 않았다. 칠흑 같은 어둠. 암자의 작은 도량에 서서 손에 든 전등을 끄고 하늘을 바라보았다. 순간 나는 그만 "아

    중앙일보

    2005.01.14 18:3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얼마나 커야 '천문학적'일까

    '천문학적'이란 말이 자주 사용되는데, 실제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천문학적'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소개할까 한다. 태양계의 크기는 120억km다. 이게 얼마나 크냐 하면, 우리 지

    중앙일보

    2004.12.16 18:36

  • [week& Leisure] 오늘 밤 난 별 헤는 어린왕자

    [week& Leisure] 오늘 밤 난 별 헤는 어린왕자

    ▶ 별을 담은 마음이 하늘만큼이나 넓어진다. 안면도 스타 팰리스 하늘 위에서 숨가쁘게 일주운동을 하는 겨울 별자리들이 카메라에 담겼다. (ISO100, F 8, 노출 35분) 가로

    중앙일보

    2004.12.02 15:31

  • [과학으로 세상보기] 한여름 밤 별들의 향연

    동양의 밤하늘은 천상의 세계를 상징한다. 그래서 궁전을 뜻하는 자미궁도 있고, 군대를 뜻하는 군문(軍門)도 있으며, 천대장군(天大將軍)이나 삼공(三公)과 같은 벼슬아치에 해당하는

    중앙일보

    2004.08.05 18:28

  • 태양계 밖 행성엔 외계인 살까

    영화 '콘택트'에서 선보인 '외계지적생명체탐사(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1960년대 이후 외계의 전파신호를 분석해

    중앙일보

    2004.01.14 15:30

  • [과학과 미래] "새해엔 별별 사진 다 찍고 싶어"

    [과학과 미래] "새해엔 별별 사진 다 찍고 싶어"

    궁수자리에 있는 삼렬성운. 밝기는 약 8등급. 5천2백 광년의 거리에서 매초 약 11㎞의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 메시에 천체 번호로는 스무번째다. 우주에는 1만1천여개의 은하가

    중앙일보

    2004.01.07 15:11

  • [2003년 떨어진 별들] 해외

    [2003년 떨어진 별들] 해외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흐른다.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도 '미국 영화 최고의 영웅'도 지상에서 주어진 시간을 소진하고 저 세상을 향해 떠났다. 2003년 올 한해 타계한

    중앙일보

    2003.12.29 17:55

  • [과학으로 세상보기] 밤하늘의 모습 왜 달라지나

    수천억 곱하기 수천억 개의 엄청난 별이 우주에 존재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보다는 블랙홀 같은 암흑물질이 훨씬 더 많다고 한다. 그나마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천억 개의 은

    중앙일보

    2003.11.20 18:32

  • [과학으로 세상보기] 마지막 순간 별이 가장 밝다

    지구는 태양에서 셋째로 가까이 있는 그리 크지 않은 행성이다. 항성인 태양 주위에는 9개의 행성이 있고 각각의 행성 주위에 위성이 있으며 또한 10만개 정도의 소행성들이 존재하는데

    중앙일보

    2003.11.06 18:23

  • [과학과 미래] 우주 '130억년 히스토리' 풀리나

    천문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 미뤄졌던 미 항공우주국(NASA) 의 빅 프로젝트인 망원경이 오는 23일 플로리다에서 발사되기 때문이다. 이 망원경의 이름은 적외선 우주

    중앙일보

    2003.08.20 16:06

  • [과학과 미래]'중성미자' 정체 벗긴다

    올해 초 일본 쓰쿠바(築波)시의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소(KEK)에서는 한동안 가동을 멈췄던, 특수입자 빔을 만드는 장치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입자 빔이 향하는 곳은 2백50㎞

    중앙일보

    2003.06.18 15:10

  • [그림과 명상] 7. 섬에서 섬을 바라보다-조광호 신부

    [그림과 명상] 7. 섬에서 섬을 바라보다-조광호 신부

    이곳 강화에 삶의 터전을 옮겨온 지 두달, 나는 기회가 닿는 대로 낙조에 밀려오는 밀물을 바라보려고 마니산 서쪽 해변을 찾는다. 일몰이 가까워지는 시간. 동막리에서 여차리.장화리

    중앙일보

    2003.04.13 20:29

  • [시(詩)가 있는 아침]-'屋漏의 書'

    -김관식(1934~70) '屋漏의 書' 부분 벼슬아치가 수레를 머무르고 찾아온다 할지라도 두 다리 쭈욱 뻗고 마루에 걸터앉아 괼타리를 까 배꼽을 내놓은 채 이를 잡으며 말할 것이다

    중앙일보

    2003.03.09 20:45

  • 프랑스·아르헨 연구팀 허블망원경으로 포착

    빛을 비롯한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시속 40만㎞의 속력으로 이동하며 별들을 삼켜버리는 과정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고 영국 BBC방송이 18일 보도했다. 프랑스 원

    중앙일보

    2002.11.20 00:00

  • 은하계 중앙의 항성, 거대한 블랙홀 존재 결정적 증거 제공

    은하계 중앙의 항성, 거대한 블랙홀 존재 결정적 증거 제공

    색상을 강화한 이 사진은 은하계 중심부를 담고 있다. 화살표는 중심블랙홀과 동반성(同伴星)들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관련기사 '노래하는 블랙홀'의 신비 화보[화성 탐사선 '마스

    중앙일보

    2002.10.17 11:33

  • 천체 망원경 '차세대'경쟁

    생명체를 이루고 있는 탄소·산소 같은 원소는 어디서 왔을까. 이에 대한 물리학자·천문학자들의 답은 "아주 오랜 옛날 거대한 별들이 여기저기에서 폭죽처럼 터지면서 그 안에 있던 탄소

    중앙일보

    2002.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