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7)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8·15 해방이 되었을 때 영친왕은 누구보다도 아버님 고종황제를 생각하였었다. 큰 어머님 명성황후가 일본 장사패에 의해서 참혹한 죽음을 한 이래 평생을 두고 일본을 원망하고 저주하

    중앙일보

    1970.08.17 00:00

  • (65)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2·26 사건은 일본군끼리 싸워서 한 때는 동경이 불바다가 될 뻔하였으나 영친왕의 우도궁 제59연대가 반란 부대를 포위한지 이틀만에 항복하여 겨우 대란만은 면하였으나 그 사건이 끼

    중앙일보

    1970.07.21 00:00

  • 출세와 운

    지난 7월14일은 「프랑스」 대혁명 기념일이자 대한 제국의 말로를 재촉한 해아 밀사 사건의 일원인 이준 열사가 망국의 한을 품고 관사한지 63주년이 되는 날이다. 흔히 우리 겨레는

    중앙일보

    1970.07.20 00:00

  • (59)|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헐버트」 박사는 이 대통령을 위시하여 이화 대학의 「아펜셀라」 노양과 연희 대학의 「언더우드」씨와 YMCA의 「피치」 박사를 어서 만나보고 싶다고 몇번이나 되풀이 해 말하는 것이

    중앙일보

    1970.07.14 00:00

  • (54)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05년 (광무 9년) 8윌8일에 미국 포트머드에서는 미국 대통령 「디어도·루스벨트」의 중재로 일로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는데 그 틈에 제2차 일영 동맹이 체결되어 그 조문에 한국

    중앙일보

    1970.07.08 00:00

  • (53)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고종 황제는 이조 (한양조) 5백년의 역사가 장차 그 종말을 고하려고 할 때 사직의 안태와 국가의 장래를 며칠만 있으면 일본으로 끌려갈 나 어린 아들 영친왕에게 촉망하였지만 당년

    중앙일보

    1970.07.07 00:00

  • (52)-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이때 송병준은 『신에게 두 가지 대책이 있사옵니다만 도저히 청허 하시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되옵니다.』 『무엇이고 말해보라.』 『이번 해아 밀사 사건은 폐하께서 잠깐 실수를 하신 것

    중앙일보

    1970.07.06 00:00

  • (51)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이준·이상설·이위종의 세 밀사는 고종황제의 뜻을 받들고 민족과 조국을 위해서 필사의 노력을 다하였으나 약소 국가의 비애로 아무 성과도 얻지를 못하게 되자 결국 이준 열사는 분통이

    중앙일보

    1970.07.04 00:00

  • (50)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제1회 만국 평화 회의는 1899년에 화란국 해아에서 개최되었고 제2회 평화 회의는 1907년에 역시 해아에서 개최되었는데 한국 황제 고종의 밀사가 해아에 나타난 것은 제2회 때의

    중앙일보

    1970.07.03 00:00

  • (39)해방에서 환국까지

    덕혜옹주가 일본으로 간지 꼭 l년만에 순종황제가 세상을 떠났다. 1874년2월8일 창덕궁 관물헌에서 탄생하여 1926년4윌25일 대조전에서 서거하니 향년이 52세로 고종황제 보다도

    중앙일보

    1970.06.20 00:00

  • (29)해방에서 환국까지

    고종황제의 국장은 3월3일로 정해졌는데 그날을 이틀앞둔 3월1일이 되자 우리 역사상 유명한 삼·일 독립운동이 터졌다. 당시 서울에는 인산(임금의 장례)을 구경하려고 경향 각지에서

    중앙일보

    1970.06.09 00:00

  • (28)해방에서 환국까지

    당시 일본은 군벌의 전성시대로 육군대장 야마가다(산현유붕)는 소위 장주벌의 대표격으로 원로적 지위에 있었고 역시 육군대장 데라우찌(사내정의)는 조선총독으로 있다가 총리대신이 되어

    중앙일보

    1970.06.08 00:00

  • (27)해방에서 환국까지

    아무리 문초를 하고 위협을 해도 도무지 자백을 하지않을뿐더러 무슨 확실한 증거가 있었던 것도 아니므로 김시종은 한달만에 겨우 석방되었다. 그러나 거기에는 한가지 조건이 있었으니 그

    중앙일보

    1970.06.06 00:00

  • (26)해방에서 환국까지

    그토록 영친왕을 사랑하고 아끼던 고종황제도 그후 10년이 못가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었으니 그것은 삼·일운동이 일어나기 조금전인 1919년1월25일 밤의 일이었다. 평소에 식혜

    중앙일보

    1970.06.05 00:00

  • (13) 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고종 황제가 세상을 떠나고 곧 이어서 삼·일 운동이 발발하니 일제는 물실호기라고 생각하였던지 이때부터 침략정책이 더욱 노골화하기 시작했다. 덕혜옹주가 일출 국민학교(지금의 퇴계로에

    중앙일보

    1970.05.21 00:00

  • (12) 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내가 동경에 가서 처음으로 영친왕을 뵈었을 때 전기 「윤 대비와 피치박사」의 이야기를 하였더니 영친왕은 만면에 웃음을 머금고 『그럴 거야, 그럴 거야, 대비마마 같으면 그렇게 하실

    중앙일보

    1970.05.20 00:00

  • (10)해방에서 귀국까지

    영친왕이 가장 염려하던 분 중의 한사람인 윤 대비(순종황제 비)는 어떻게 되었는가? 해풍 부원군 윤택영씨의 큰 마님으로 열 세살 때에 황태자비로 들어가서 나중에 황후가 된 분이다.

    중앙일보

    1970.05.18 00:00

  • (3)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패전 직후의 일본사람의 생활이란 비참하기 짝이 없는 것이었다. 공습으로 도시라는 도시는 모두 잿더미가 된데다가 먹을 것도 없고 입을 것도 없으니 당시 9천만에 가까운 일본국민도 꼭

    중앙일보

    1970.05.09 00:00

  • (22)고종의 만수무강 빌었던 세종로 비각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황제가 된 고종의 만수무강을 비는 칭경기념비각은 세종로 동북쪽 한 귀퉁이에 쳐박혀 고증건물과 지하도입구 지붕틈에서 잊혀져가고 있다. 먼지 낀 비각 돌난간엔

    중앙일보

    1970.05.07 00:00

  • 이조잔영

    『참으로 생각하면 생각 할수록 어려웠던 긴 세월이었다.』 이방자 여사는 자서전『지나온 세월』을 이렇게 끝맺고 있다. 그의「세월」은 한 자연인의 연륜만을 뜻하지는 않을 것 같다. 난

    중앙일보

    1970.05.02 00:00

  • 영친왕의 생애|김을한

    영친왕 이은씨가 필경 세상을 떠났다. 1963년 11월22일 귀국하여 70년 5월1일에 세상을 떠났으니 비록 병석에서나마 약 6년반동안을 그리운 조국에서 마지막 생애를 보낸 셈이다

    중앙일보

    1970.05.02 00:00

  • 비운의 일생…이조 최후의 왕세자|영친왕 이은씨…유명달리하던 날

    비운의 왕자 영친왕 이은 씨는 70평생을 두고 가슴에 맺힌 숱한 사연을 한마디도 남기지 못한채 운명했다. 11살때 불모로 일본에 갔다가 63년11월에 환국한 뒤 줄곧 의식이 흐려진

    중앙일보

    1970.05.01 00:00

  • (18)|동묘

    한때는 나랏님까지 가마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 봉전 배례하던 「성지」동묘-그러나 이제는 옛날의 빛을 잃고 퇴색해 가는 초라한 모습을 상징이나 하듯 입구의 「대소 인개 하마」란 돌 팻

    중앙일보

    1970.04.23 00:00

  • 조선호텔

    새 조선「호텔」이 기공한지 3년만에 드디어 17일 문을 열었다. 옛 모습에서 남은 것이라고는 그저 l897년에 고종이 독립국 황제가 된 것을 기념하여 제사 지낸 원구단뿐이다. 구

    중앙일보

    1970.03.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