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린벨트 해제방안 대상 · 규모 말만 무성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4일 7대 광역도시권 그린벨트 해제방안을 확정.발표했지만 현장 분위기는 시큰둥하다. 문의도 많지 않고 거래 역시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그린벨트 해제방침이 이미 발표돼 가격에 거의 반영된데다 해제대상과 시기 등이 최종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조

따라서 묻지마 투자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하고 있다. 자칫 투자금이 묶일 수 있고 일부지역은 시세가 목까지 차올랐다.

◇ 썰렁한 분위기=해제 가능성이 큰 지역 주민들은 그 범위와 땅값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시장은 잠잠한 편이다.

서울에서 해제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강남구 율현동 방죽2마을, 자곡동 쟁골.교수마을, 세곡동 아래반.윗반고개마을, 수서동 궁마을 등과 서초구 우면동 성형촌마을 등의 경우 평당 4백만~6백만원의 시세가 형성돼 있으나 거래는 거의 없다.

서울 은평구 진관내동 서부공인중개사무소 신현진 사장은 "정부 발표 후 투자문의는 간간이 있지만 이미 해제 기대심리가 시장가치에 반영돼 더 이상 값이 오를 가능성은 적다" 고 말했다.

하남에서 해제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는 풍산동.감북동 배다리.천연동 선린촌 등은 연초보다 50만원 정도 뛴 평당 2백만원대에 호가가 형성돼 있으나 거래는 뜸하다.

지방도 마찬가지. 광주시 북구 건국동 용전마을 50통장 박우전씨는 "주택지가 평당 80만~1백만원으로 이미 많이 올랐다" 며 "그동안 불편했던 주택 증.개축 등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고 있을 뿐" 이라고 말했다.

대전에선 대덕구 장동.동구 세천동 지역이 주요 해제대상이지만 가격.거래 등에 있어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 대덕구 N부동산 대표 김종학씨는 "정부발표 이후 땅값 동향을 묻는 전화가 거의 없다" 며 "주민들은 기대심리로 물건을 내놓지 않지만 수요자들은 땅값이 내릴 때까지 관망하는 것 같다" 고 말했다.

부산지역 해제대상으로 점쳐지고 있는 강서구 송정동 송정마을 대지의 경우 1987년부터 96년까지 평당 1백50만원까지 거래됐으나 이후 계속 하락해 지금은 60만~70만원으로 떨어진 상태다.

주민 조삼율(50.농업)씨는 "매물을 내놓아도 찾는 사람이 없다" 고 말했다. 대구시 전체 그린벨트의 45%(1백94㎢)를 차지하고 있는 달성군 가창읍 G부동산 관계자는 "아직 어디가 풀릴지 정확히 몰라 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고 기존 급매물 거래도 이뤄지지 않는다" 고 전했다.

◇ 섣부른 투자는 금물=이미 해제를 추진 중인 취락지역(3백가구가 넘거나 인구 1천명 이상 거주)외에도 광역도시계획에 따른 해제대상 등도 투자대상에 넣을 수 있다.

집단취락의 경우 서울은 최소 1만5천평에 1백가구 이상, 그외 지역은 최소 6천평에 20가구 이상이면 해제 대상이다.

해제 후에는 대부분 1종 일반주거지역이나 전용주거지역에 편입되며 일반주거지는 단독.다가구.연립주택을 지어 임대.분양할 수 있다.

정부는 해제에 대한 가이드라인만 제시할 뿐 구체적인 범위 등은 결정되지 않았다. 지자체가 광역도시계획을 세워봐야 어디가 풀리는 지 확실히 알 수 있다.

때문에 묻지마 투자는 자제해야 한다. 위험부담을 줄이려면 아예 집단취락지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게 좋다.

이 곳은 정부가 주민불편 해소 차원에서 광역도시계획과 관계없이 해제를 위한 도시.정비계획만 세우면 해제해줄 방침이다.

집단취락지구 외에는 자연환경이 잘 가꿔진 곳은 피해야 한다. 광역도시계획에 의해 조정가능지역으로 지정되면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되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경제연구소 정광영 소장은 "지자체의 도시계획을 살펴보면 그린벨트 내 개발할 곳이 어딘지 대충 파악할 수 있다" 며 "안정적인 투자가 목적이라면 도시계획이 수립된 후 덤비는 게 낫다" 고 전했다.

전국부.서미숙 기자 seomi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