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젠잉 원수 아들 예쉬안닝, 시진핑 군권 장악 오른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예쉬안닝(左), 후더핑(右)

시진핑(習近平) 시대가 열림에 따라 태자당(太子黨·혁명 원로나 고위 공직자 후손들로 이뤄진 파벌)이 명실공히 중국 최고 권력의 핵심이 됐다.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나 리펑(李鵬) 전 총리가 사망한 혁명열사의 유족이긴 했지만 이전까지 부친 등의 직접적인 후광을 입고 최고 권부에 오른 이는 쩡칭훙(曾慶紅·쩡산 전 내정부장 아들) 전 국가부주석 정도가 대표적이었다.

 시진핑의 주변엔 당·정·군에 걸쳐 광범위한 태자당 세력이 형성돼 있다. 이 중 예쉬안닝(葉選寧·74) 예비역 소장과 후더핑(胡德平·70)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상무위원은 시진핑의 막후 핵심 측근으로 꼽힌다. 예쉬안닝은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과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냈고 마오쩌둥(毛澤東) 사후 4인방 검거에 결정적 역할을 한 예젠잉(葉劍英) 원수의 아들이다.

 예쉬안닝은 시진핑이 군을 장악할 수 있도록 핵심 인사들을 연결시켜 줬다. 대표적 인물이 쉬차이허우(徐才厚) 군사위 부주석과 장하이양(張海陽) 제2포병(핵 등 전략무기 담당) 정치위원이다. 홍콩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쉬차이허우는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된 시진핑을 수행해 자신의 세력 기반인 선양군구(軍區)를 돌며 간부들이 시진핑에게 충성을 맹세케 했다. 예쉬안닝은 1990~97년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연락부장으로 있으며 3000명의 태자당 인사들을 해외로 유학 보내 양성했고, 이들의 명단을 시진핑에게 넘겨 친위세력으로 관리케 했다고 한다.

 후더핑은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장남이다. 개혁가였던 아버지 성향을 이어받아 공산당의 지배력 제한을 주장하는 등 당내 민주화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낸다. 후야오방은 정치적으로 복권되지 않았지만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모두 그를 상관으로 모신 전력이 있어 후더핑의 영향력도 만만치 않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시진핑은 올해 두 차례 개인적으로 후더핑을 찾아가 개혁에 관한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이들 세 집안은 끈끈한 인연으로 묶여 있다. 시진핑의 부친 시중쉰(習仲勳) 전 부총리는 87년 후야오방이 덩샤오핑(鄧小平) 등 원로들의 공격을 받고 실각할 때 거의 유일하게 후를 두둔한 인물이다. 시진핑이 85년 허베이성 정딩(正定)현 서기에서 푸젠성 샤먼(厦門)시 부시장으로 영전한 건 후야오방의 배려였다. 예젠잉과 시중쉰은 군에서 항일전쟁과 내전을 함께 치른 동지다.

  뉴욕타임스는 예젠잉 등 4인방 검거에 참여한 이들의 자녀로 구성된 태자당 모임에서 ‘공산당이 너무 썩었으며 인민들과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