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산모 사망자 비율, 4년간 2배로 증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임신ㆍ분만 등의 과정에서 사망한 산모의 비율이 4년만에 2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산부인과학회는 6일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가 2008년도에 10만 출생아 분만당 8.4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불과 4년만에 분만당 17.2명으로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모성사망비란 출생아 10만 명당 산모 사망의 수를 의미한다. 직접ㆍ간접 모성사망으로 구분한다.

'직접 모성사망'은 고혈압성 질환ㆍ양수색전증ㆍ감염 등 임신, 분만, 산후 과정의 합병증이나 치료결과에 직접 연관된 사망이다. 반면 임신 전 질환이나 임신ㆍ분만ㆍ산후 중에 발생한 질환이 악화돼 사망한 것은 '간접 모성사망'이라 한다. 의료의 질이나 산모의 연령, 임신ㆍ분만 중 합병증 관리 등이 간접 모성사망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직접 모성사망에 의한 모성사망비는 1.6배 증가했으나, 고위험 산모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간접 모성사망비는 6배나 증가했다.

대한산부인과학회는 "특히 35세 이상의 고령산모에서 모성사망비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분만병원 수ㆍ대학병원의 인력의 부족 등과 같은 고령산모 관리에 대한 인프라 약화가 시급한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모성사망비의 증가는 산부인과 전공의ㆍ분만의사 감소로 인한 고위험 임신관리 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 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1995년~2011년까지 산부인과 전공의와 분만의사 수가 감소할수록, 모성사망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의 모성사망비 불균형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07~2008년 조사한 결과, 서울 지역 모성사망비는 10.8명인 반면, 강원 지역 모성사망비는 34.6명이었다. 지역 격차게 세 배 이상 나는 셈.

산부인과학회는 "강원도에 분만취약지가 가장 많고, 대학병원으로의 접근성이 가장 떨어진다"며 "산과적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과 신속한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모성사망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부인과학회 김선행 이사장은 “2008년도까지 OECD 평균 보다도 낮은 모성사망비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 동안 열악한 분만환경에도 불구하고 밤낮으로 분만장을 지켰던 산부인과 의사들의 투철한 희생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젊은 의사들에게 의료인의 사명감만으로 의료소송에 대한 정신적 부담과 응급진료에 대한 육체노동을 강요할 수 없게 됐다"며 하루속히 국가적인 특단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앞으로 모성사망비는 더 증가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유한양행, 한올바이오파마 탐나네~ [2012/11/06] 
·한국 줄기세포 홍콩으로 수출된다 [2012/11/06] 
·"햇빛 안 보는 현대인들‥비타민 D 결핍 심각한 수준" [2012/11/06] 
·녹차가 좋긴 좋은 모양~ [2012/11/06] 
·피부과 의사도 화장품 최신 트렌드 배워요 [2012/11/06]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