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가 던진 세 가지 '단일화 조건' 살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17일 야권 후보 단일화 조건으로 받아들여질 언급을 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세종대에서 열린 ‘새로운 변화,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한 초청 강연회에서 “새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선 정치가 달라져야 한다”면서 세 가지를 말했다. 첫째는 협력정치, 둘째는 직접민주주의 강화, 셋째는 특권 포기였다. 안 후보는 지난달 19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야권 후보 단일화 조건으로 정당쇄신을 내걸었으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민주당이 “어떻게 하는 게 쇄신이냐”고 질문했으나 안 후보는 “스스로 답을 구하라”는 취지로 반박했었다. 그러다 이날 몇 가지 조건을 던졌다. 그는 협력정치와 관련, 18대 국회의 4대 강 예산 및 ‘부자 감세’ 법안 처리를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한번 어떤 것을 하겠다고 결심하면 당론에 따라 여당 의원들은 거수기가 되고, 야당은 그걸 막으려고 국회 문을 걸어 잠그고 농성하고 몸싸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은 당의 명령에 무조건 따르라고 한 분 한 분을 뽑은 게 아니다”고 비판했다.

 직접민주주의 강화에 대해선 “국민의 의사와 대의민주주의가 동떨어져 가고 있다”며 “국민이 낡은 정치세력이 아니라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는 진정한 정치신인을 원하는 것도 거기서 연유한다”고 주장했다. 주목되는 건 세 번째 조건이다. 그는 “정당의 소수 권력자에게 집중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며 특권 포기를 강조했다. 안 후보는 “올해 4·11 총선 직후 양당이 국민에게 제일 먼저 약속한 것은 스스로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것이었다”며 “지금 내려놓은 특권이 있느냐. 어느 순간 쏙 들어가버리고 아무것도 내려놓은 특권이 없다”고 했다. 민주당 친노무현계를 겨냥한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류정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