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유료화 나서는 EBS 속사정

중앙일보

입력

EBS의 인터넷 유료화가 오는 7월중 시행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논란이 예상된다.

인터넷 사이트의 유료화가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영방송인 EBS가 유료화에 앞장서는 것에 대해 시청자와 네티즌의 반응이 부정적일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BS가 유료화를 강행하고자하는 데는 재정적 어려움에 원인이 있다. EBS측은 시청자와 네티즌에게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료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EBS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EBS의 서버용량은 한번에 2천500명이 접속할 수 있을정도로 이는 공중파방송 3사 가운데 가장 큰 용량이다. 하지만 주로 교육용 콘텐츠를 이용하는 EBS 시청자들은 다른 방송사의 시청자들에 비해 장시간동안 VOD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접속이 자주 끊어지는 등 안정적인 서비스가 이뤄지지못하고 있다는 것. 앞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쌓여가고, 이용자수가 더 늘어나면 서버 용량과 회선을늘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한 경비조달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EBS는이미 70여억원의 결손이 예상되는 상황이어서 자체적으로 예산을 조달할 형편이 못된다.

EBS는 지난 22일로 교육부 출연기관에서 교육방송공사로 전환한지 1주년을 맞았지만 아직도 어려움은 산적해있다. 청사마련, 직원복지향상 등의 당면 과제중에서도안정적 재원확보는 가장 많은 직원들이 문제제기를 하는 부분이다. 일선 제작진은최근 단행된 제작비 삭감과 4년간 공채를 실시하지 않아 누적된 인력부족으로 이중고를 겪고있다.

자체수입 66%, 공적지원금 34%로 구성된 EBS의 재원구조는 경기상황에 따라 커다란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상업적인 프로그램이 방송되지 않으므로 시청률은평균 1%안팎으로 여타 공중파 방송사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낮다. 그에 따라광고수입이 턱없이 적다. 이처럼 단가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광고수입은 경기에 많은영향을 받고있다.

EBS의 주요한 재원조달 수단이었던 교재판매수익도 최근에는 인터넷의 일상화에따라 예전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이미 EBS측은 교재판매가 한계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EBS 정책기획실 손홍석 실장은 "인터넷 유료화는 안정적인 재원이 확보가 안되기 때문에 진행되는 것"이라며 "정부 및 방송위원회가 나서 EBS의 예산에서 수신료수입, 방송발전기금, 교육부의 국고보조금 등 공적자금의 비율을 높여주는 것이 EBS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EBS의 콘텐츠는 많은 사람들에게 재교육의 기회를주는 공익적인 것"이라며 "EBS의 상업화를 막기 위해서는 공적자금의 지원이 늘어날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경실련 미디어워치 김태현 간사는 "EBS가 재정적으로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 부담을 일반시민들에게 전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자체수입이 66%에 이르는 EBS의현재 재원구조는 공영방송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므로 공적자금의 지원을 늘리는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승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