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거센 팔자 공세 고개 떨군 "IT 빅 3"

중앙일보

입력

시가총액 상위 5종목이 비실대고 있다. 거래소의 시가총액 44%를 차지하는 이들 종목은 증시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어 증시 침체와 맞물려 있다. 전문가들은 빅 5 중 삼성전자.SK텔레콤.한국통신 등 정보기술(IT) 주들은 미국 경기가 불투명해 당분간 약세 분위기가 이어지며 증시 회복을 가로막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전과 포철은 내수주와 전통 제조주 성격이 강하나 외화 부채가 많아 올 들어 계속된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 으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 거센 외국인 매도 공세=외국인들은 최근 포철을 제외한 나머지 시가총액 상위 4개 종목을 팔아치우고 있다. SK텔레콤의 경우 지난달 3일부터 매도 추세가 이어져 26일까지 2백26만주를 순매도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 지분율도 48.99%에서 46.55%로 2.44%포인트나 낮아졌다.

삼성전자도 지난 15일 이후 외국인들이 8일 연속 매도에 나서며 1백63만주를 순매도했다. 57.7%에 이르렀던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이 26일 56.6%로 1.1%포인트 하락했다.

이같은 외국인 매도로 삼성전자 주가는 19만원마저 깨졌으며, SK텔레콤도 자사주 매입의 약발이 끝나면서 20만원을 위협받고 있다. SK텔레콤은 NTT도코모에 지분을 매각할 것이란 호재가 남아 있으나 뉴욕 주식예탁증서(DR) 도 떨어지고 있어 주가가 당분간 약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통신과 한전은 외국인들이 이달 중순께 매도 추세를 보였다가 최근 2~3일 전부터 매수 추세로 돌아섰다. 포철의 경우 지난 13일부터 외국인들이 매수에 나서 지분율을 58.70%로 올려 빅 5중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았다.

◇ 미국 경기가 관건=외국인들이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을 팔아 치우는 것은 미국 경기가 언제 회복될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전자.SK텔레콤.한국통신 등 빅3가 속한 정보통신 경기는 전통 제조업 경기보다 회복이 늦어질 것으로 보여 투자 매력을 잃은 상태다.

지난 6월 미국 4백50대 대기업 자재부장의 구매 현황을 지수화한 NAPM(전국구매관리자협회) 지수는 46으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50 이하로 내려가면 설비를 구매할 때 가격을 깎은 기업이 많다는 것이어서 그만큼 경기가 나쁘다는 의미다. 이 지수는 한국 수출경기보다 2~3개월 선행해 국내 수출 경기가 그만큼 암울해질 수 있다.

굿모닝증권 홍춘욱 수석연구원은 "27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 금리 인하는 알려진 재료여서 국내 증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 이라며 "다음달 2일 발표되는 NAPM 지수에 따라 빅5의 운명과 증시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 장기 투자자라면 분할 매수=불투명한 경기와 증시의 유동성이 제한된 상태에서 덩치가 큰 빅5가 상승하기는 힘겨울 전망이다.

대우증권 이종우 투자전략팀장은 "외국인들도 빅5의 지분을 이미 충분할 만큼 보유한 상황이어서 추가적 매수보다 비중을 축소할 가능성이 크다" 며 "박스권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커 박스권 하단에서 사고 상단에서 파는 정도의 단기 매매에 국한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현대증권 이상재 경제조사팀장도 "정보기술 경기는 전통 제조업 경기보다 회복이 늦어 내년 이후에나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인 만큼 당분간 관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현대투신운용 성금성 이사는 "경기 전망이 불투명하나 실적은 양호한 만큼 하반기부터 정보통신주를 분할 매수할 만하다" 고 말했다.

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