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춘아,춘아,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갔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간 제목 『춘아, 춘아…』는 무가(巫歌) 의 한 대목이다. 반복되는 가락이 절묘하게 풀려가는 다음 대목을 마저 읊어볼 일이다. "우리 아버지 배를 타고 한강수에 놀러갔다.

/봄이 오면 오시겠지□ 봄이 와도 안오신다. /꽃이 피면 오시겠지? 꽃이 펴도 안오신다…. " 돌아가신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이 가락의 창자(唱者) 는 아마도 아버지 생전에 함께 배를 타고 한강수 물놀이를 한 적이 있는지 모른다. 깊숙한 그리움 속에 담긴 죽음의 되새김질이 점점 깊어지면서, 그 가락을 읊고 듣는 이 모두 자연스레 눈물을 짓게 된다.

자, 이제 우리네 삶으로 돌아오자. 문화의 천박함과 인문학의 죽음을 얘기해 온 어제 오늘이다. 그렇다면 무가(巫歌) 의 주인공 '옥단춘' 을 '한국인' 으로, '아버지' 를 '우리 문화' 혹은 '인문학' 으로 바꿔 노래를 불러보자. '우리 시대의 삶과 꿈에 대한 13가지 이야기' 라는 부제를 단 신간은 주목받는 지성 26명이 이 땅에서 사는 슬픔과 아쉬움을 노래한 13편의 맛깔스러운, 그리고 속깊은 변주곡이다.

두 명씩 짝지워진 대화가 담긴 『춘아, 춘아…』는 계간지 『세계의 문학』 1백호 발간기념 기획물로 펴낸 책이다. 신문.잡지 등에서의 대담과 달리 지성의 높이와 삶의 깊이가 함께 느껴지는 묵직하면서도 진솔한 이야기들이다. 편집자의 순발력있는 기획에 의해 탄생한 이 단행본에 눈길이 확 가는 것은 그 때문이다. 즉 저자 한명의 '나홀로 목소리' 가 담긴 저술과 다른 '동시대의 다성(多聲) 음악' 이 이 책이다.

김우창.이윤기.이문열.최인호.도법스님.최창조.김병종 등 한국 문화계의 큰 이름들이 머리를 맞대고 있는 이 책에서 들려오는 이들의 육성은 문학.신화.디지털.종교.여성.정치 등 서로 다른 주제를 넘나든다. 옴니버스 영화가 따로 없다.

첫 주자로 나선 소설가 이윤기씨가 철학을 공부하는 친딸 다희씨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제외하고 다른 글들은 대부분 같은 길을 가는 선후배.동료 사이에 흉금을 털어놓는 방식이다.

그리스.로마의 신화를 번역하다 아예 그 방면의 전문가로 나선 이윤기씨는 "왜 돈 안되는 인문학에 빠졌나요?" 라는 딸의 짐짓 눙치는 도발에 이렇게 말한다. "함부로 말하지 마라. 나는 네가 아프리카 가수에게 뿅가서 나처럼 학교 때려치고 스와힐리어를 배우겠다 해도 말리기는커녕 박수치겠다" 고 응수한다.

이쯤 되면 부녀 사이의 장단이 거의 못말리는데, 표제어 '춘아, 춘아…' 는 이 대목에서 등장한다. 이씨는 어렸을 때 뜻도 모르고 들은 이 노래를 부모가 모두 돌아가신 지금은 눈물없이 부를 수 없다며 그것이 신화의 힘이라고 고백한다.

문학과 철학을 아우르며 문명비판적 비평을 하는 김우창(고려대 영문과) 교수는 한 세대 후배 김상환(서울대 철학과) 교수와의 대담에서 서양적 가치에 함몰될 수밖에 없었던 시대의 한계와 그것을 발전적으로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김우창 교수는 인문학의 위기를 초래한 인문학 자체의 책임을 묻는다.

서양 자체를 부정하는 시대착오적 자세를 경계하고 여전히 서양의 합리성을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김교수는 앞으로 동양학과 우리 자신에 대한 학문이 주종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에는 서로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사람이 마주앉아 공감을 자아내는 대담도 눈길을 끈다. 이를테면 첨단 인터넷서점 '알라딘' 대표 조유식씨와 헌책방 '숨어있는 집' 주인 노동환씨가 전자책(e-book) 등 새로운 책의 흐름과 출판유통의 현안을 디지털과 아날로그 문화의 차이를 중심으로 펼쳐낸다.

또 중국 고대 신화서인 『산해경』의 번역자 정재서(이화여대 중문과) 교수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한 김주환(연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대담을 보면, 2천5백년 전의 『산해경』 속에 현대의 유명 만화 캐릭터인 포켓몬스터와 같은 형상들이 무수히 발견된다고 한다.

감리교 목사인 양명수(배재대 신학과) 교수가 실상사 주지 도법스님과 '더 멀리 더 깊이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에 대한 종교간 대화를 나누고, 소설과 최인호씨와 연봉이 24억원인 휠라 코리아 대표 윤윤수씨가 최씨의 소설 『상도(商道) 』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 시대의 경영철학으로 도덕성을 강조한다.

또 최장집(고려대 정치학) 교수가 정치철학을 전공한 강유원씨와 함께 진흙탕 같은 한국 정치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선 우리가 더 이성적이어야 함을 지적한다.

이밖에 최재천(서울대 생물학과) 교수와 최승호 시인간의 '생명과 환경' , 최창조(경산대 풍수학) 교수와 재야철학자 탁석산씨의 '풍수지리와 우리 학문의 정체성' , 김화영(고려대 불문과) 교수와 소설가 이문열씨의 '70점짜리 문학은 가라' 가 이어진다.

어느 대목을 붙잡아도 챙겨갈 것이 있는 순도높은 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