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특집] ⑦ 숙박·수송 대책 현황

중앙일보

입력

월드컵 숙박 및 수송은 국가 위신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월드컵 성공적 개최의 잣대임에 틀림없다.

한국월드컵축구조직위원회(KOWOC)는 대회 개막을 1년 앞둔 요즘 국민은 물론 외국의 참가선수 및 관람객들이 편안하게 묵고 이동할 수 있도록 숙박시설 및 수송망확보를 위해 묘안을 짜내느라 여념이 없다.

우선 월드컵 숙박대책은 조직위와 월드컵한국숙박사업단(WCABK), 문화관광부와 10개 개최도시가 분담해 마련하고 있다.

국제축구연맹(FIFA) 관계자와 선수단 등 월드컵패밀리 등이 묵을 관광호텔 객실확보는 조직위 몫이고 문화부와 개최도시는 일반호텔과 고급여관 등 중저가시설의 객실 확보를 맡고 있다.

월드컵 대회기간 한국을 찾을 것으로 추산되는 해외 관람객은 35만명. 하루 최대 숙박수요가 최고 10만명에 7만5천실이지만 개최도시의 호텔 객실수는 일반 5%,관광 15% 등 6만2천실 수준에 불과해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24만실을 일반 여관에서 메워야 한다.

하지만 5월 현재 조직위는 215개 호텔과 2만1천570실, 여관 3만8천실 계약을 맺는 데 그쳐 `숙박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정숙박시설 확보율 역시 대전과 서귀포가 각 11%, 광주 19%, 울산과 부산이 각 20%, 인천 28%, 전주 34%, 대구 65%로 거의 모든 도시가 부진하다.

이는 `러브호텔'이 대부분인 여관 업주들이 매상 격감을 우려, 월드컵 숙박시설지정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직위는 여관업계의 동참을 위해 시설 개보수 및 종업원 교육을 위한 특별자금 지원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