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비만환자, 약보다 수술이 효과적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고도비만환자는 생활 습관 교정이나 약물 요법보다 비만 수술이 살을 빼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고도비만환자의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수술과 비수술치료 간의 경제성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비만 수술(복강경위밴드술, 루와위우회술, 위소매절제술)이 비수술 치료 방법인 운동, 식이, 약물요법보다 비용은 비싸지만 효과는 더 크다는 것.

연구진은 수술과 비수술 치료간의 체중 감소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2008-2011년 2월까지 8개 3차 병원에서 비만수술(261명)과 비수술치료(224명)를 받은 고도비만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18개월 동안의 추적관찰기간에서 체중 감소율은 수술군(22.6%)가 비수술군(6.7%)에 비해 높았다.

비만 수술을 받은 환자는 당뇨병과 고혈압 등의 동반 질환 개선 효과도 높았다. 연구진은 수술 치료를 받은 고도비만 환자의 동반 질환 개선 정도를 조사한 결과 비만 수술 환자에서는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등의 동반 질환이 개선됐다

비만 수술 환자는 삶의 질 개선 정도도 높았다. 연구진은 수술과 비수술군에서 비만에 특화된 삶의 질 도구를 이용해 수술군과 비수술군의 치료 전후 삶의 질을 평가했다. 그 결과, 수술군에서의 삶의 질 개선효과가 비수술군에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체중변화와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과 비수술간의 비용효과 분석결과, 평생 동안 1인당 기대의료비용은 수술군이 약 1,790만 원, 비수술군이 약 1,640만 원으로 수술군에서 약 150만 원이 더 소요됐다.

연구책임자인 권진원 박사(한국보건의료연구원 부연구위원)는 “비만치료를 위해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방법이 무분별하게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어, 이번 연구결과가 비만환자 치료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비만수술은 미국에서는 고도비만환자를 대상으로 2008년 한 해 동안 22만 명에게 시행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2003년 125건에서 2009년 778건으로 시행 건수는 많지 않으나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오는 30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대한비만학회와 공동으로 고도비만환자 치료법 경제성 분석 결과를 내용으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고, 고도비만에 대한 질병으로서의 인식개선과 고도비만관리의 정책근거를 마련하고자 9월 중 전문가를 대상으로 원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인기기사]

·개원의는 봉? 지갑 노리는 브로커에, 대출 이자까지 [2012/08/27] 
·전공의 수당 체불한 18개 병원들 "나 떨고 있니?" [2012/08/27] 
·보훈병원 의약품 입찰 파동…고비는 9월 [2012/08/28] 
·영상의학 최고 학술지에 한국 의학자 논문 게재 [2012/08/27] 
·"당뇨복합제 등장…환자 복약순응도 개선에 도움" [2012/08/27] 

장치선 기자 charity19@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