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급성장에 초조 … 일본, 영토 문제 날선 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독도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놓고 벌어진 한·중·일 갈등과 일본의 강한 대응은 주변국의 성장에 대한 일본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이전에는 일본의 일부 국수주의자만 "빠른 경제성장을 보이는 한국과 중국에 대해 일본이 더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제는 많은 일본 국민이 이런 감정을 공유하고 있다. 심지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으로부터 자살을 강요당하는 등의 아픈 역사 때문에 반전 성향이 강한 오키나와 지역에서도 시청 앞에 욱일승천기(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기로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를 내걸 정도다.

NYT는 특히 2년 전 일본 측이 중국 선원을 구금한 데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일본에 희소금속 수출을 제한해 산업적 타격을 받은 뒤로 일본 내 중국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졌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자국과 미국의 경제력이 약화되고 중국의 힘이 커지면서 권력 관계가 새로 재편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지난해 10월 일본 총리실 조사에 따르면 일본 국민의 70% 이상이 중국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NYT는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베트남·필리핀 등과 40여 개 섬을 두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지만 한·중·일 분쟁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자원을 놓고 분쟁을 벌이는 남중국해와 달리 한·중·일 갈등은 일본의 강압적 식민 지배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센카쿠 열도 문제를 놓고 중국 각지에서 반일 시위대가 쏟아져 나온 것도 그런 맥락으로 봤다.

 중국과 일본 사이의 무력 충돌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지적됐다. NYT는 “한국이 한·일 정보보호협정 체결을 철회한 것도 독도 문제 때문”이라며 “일본과 한국을 우방으로 해서 중국과 북한을 견제하려는 미국으로서는 곤란을 겪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