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따로 성폭력법 합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법무무가 제각각 나눠져 혼선을 빚고 있는 성폭력 관련법들의 통합을 추진키로 했다.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특례법)과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동청소년 성보호법) 등이 그 대상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9일 “소관부처가 각기 다르고 기능이 뒤섞여 있는 성폭력 관련법들을 범죄자 처벌과 피해자 지원이라는 두 틀로 나눠 각각 통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범죄자 처벌과 신상정보 공개 등의 업무는 법무부로 일원화하고 피해자 지원 분야는 여성가족부가 담당하는 방식이다. <중앙일보>7월 25일자 29면>

 이 관계자는 “연구용역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다”며 “9월 중에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공청회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초 국회에 법 개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법무부가 법률 통합에 나선 주된 이유는 ‘성범죄자 알림e사이트(www.sexoffender.go.kr)’ 분리 운영 논란 때문이다. 성범죄자 신상정보 관리와 공개 기능을 담당하는 이 사이트의 운영주체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 두 곳이다.

 성인 대상 성범죄자는 성폭력특례법에 따라 법무부가,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는 아동청소년 성보호법에 따라 여성가족부가 담당한다. 문제는 공개 대상과 기준이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인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뒤 벌금형을 받게 되면 신상공개 대상에 포함된다. 하지만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는 벌금형만으로는 신상공개 대상이 안 된다. 이처럼 운영주체와 기준이 나눠지면서 제대로 된 성범죄자 관리가 안 된다는 비판이 많이 쏟아졌다.

 법률 개정의 번거로움도 한 이유다. 관련법들이 유사한 내용을 많이 담고 있어 한 가지 법을 바꾸면 다른 법도 연이어 개정해야 하는 등 시간·절차상 문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여성부도 이 같은 방향에는 원칙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강월구 여성부 권익증진국장은 “법체계 정비는 원론적으로 맞다”며 “하지만 세부 방안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