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후변화 체감도 높지만 대응 실천정도는 미흡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소비자 식품안전 인식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대응 홍보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식약청은 지난 5월 1일부터 18일까지 전국 1200명의 20~6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체감도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 인지 정도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대응 소비자 행동 실천 수준 등에 대해 설문 조사하고 2010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 인지도 변화 정도를 측정했다.

이번 설문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느끼는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도와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 인지 수준은 2010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실천 정도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영향 심각성 인지도 높아
일상 생활에서 기후변화 체감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8.9%가 체감한다고 응답해 2010년 조사 결과인 88.1%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지성 호우 현상(4.27점) ▲여름철 냉방기기 가동 시간 증가(4.26점) ▲열대야 일수 증가(4.25점)에 의한 체감도가 높았다.
기후변화 영향이 심각하다고 인지하는 응답자는 전체 91.3%로 2010년 76.1%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91.9%)가 ‘우리나라 평균 기온 상승이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응답했고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 응답자는 전체 88.6%에 달했다.

또한 응답자의 70% 이상이 기후변화가 결과적으로 식품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특히 ▲가축 질병 발생 증가(4.14점) ▲농약 사용량 증가(4.08점) ▲농산물 중금속 오염 증가(4.04점) ▲신종플루 등 해외 신종 병원체 유입(4.01점) 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 정도는 낮아
그러나 기후변화 영향 심각성 인지 정도에 비해 소비자들의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자세(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행동)는 미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추기 위한 행동 중 비교적 실천을 잘 실천하는 행동은 ▲외출 시 소등하고 사용하는 곳만 전등 켜기(4.01점) ▲에너지효율이 높은 가전제품 구매(3.76점) ▲수도꼭지 틀지 않고 세수나 양치질하기(3.70점) ▲가까운 거리는 걷기(3.68점)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식품관리와 관련한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에 대한 실천 정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3.49점으로 중요성 인식도 3.96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천 정도는 ▲설거지 물 사용 줄이기 ▲잔반 남기지 않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시장, 마트 갈 때 걸어가기 순으로 높았다.

기후변화 인지 정도와 달리 기후변화 대응 행동이 미흡한 이유로는 ‘그냥 귀찮아서’라는 응답이 전체 27.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0년 조사 당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 등 정보가 부족 하다는 답변이 다소 높게 나타났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이 밖에도 ▲혼자해서는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2.4%) ▲개인에게 당장 이득이 없고 힘만 들어서(18.3%) 등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인기기사]

·의료계 옥죄는 법안 줄줄이~"이대로는 안돼" [2012/08/07] 
·'노인병' 더 이상 노인들만 걸리지 않는다? [2012/08/07] 
·한국인 37만명의 임상자료 공개된다 [2012/08/07] 
·내 머리 속에 '치매의 싹'이 있다? [2012/08/07] 
·바이엘, 어린이 환경 그림 그리기 대회 당선작 발표 [2012/08/07] 

배지영 기자 jybae@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