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대학 취업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일부 대학이 편법을 동원해 취업률을 부풀렸다가 적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국 32개 대학의 취업률 통계 실태를 감사한 결과 28개 대학이 취업률을 허위 공시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교과부는 해당 대학에 취업통계를 조작한 교직원 164명을 징계 처분하도록 했다.

 교과부 감사 결과에 따르면 A대는 13개 업체에 63명을 허위 취업시키고 당사자 동의 없이 인적사항을 업체에 제공했다. 일부 학과는 실험실습비로 허위 취업자의 건강보험료를 대납하기도 했다. B대는 미취업자 52명을 14개 업체에 2개월간 취업시킨 뒤 실제로 출근하지 않는데도 이들 업체에 인턴보조금 5630만원을 지급했다. 재원은 국고에서 지급된 교육역량강화 사업비였다. 교과부는 적발 금액을 모두 환수조치 했다.

 대학들이 학생을 가짜로 취업시키는 이유는 취업률이 대학 평판을 좌우하고, 대학역량강화사업 등 교과부 재정지원 사업의 핵심 지표로 쓰이기 때문이다. 사실상 ‘부실’ 대학으로 판정되는 정부재정지원제한 대학을 선정할 때도 취업률이 전체 점수의 20%를 차지한다. 재학생 충원율(30%) 다음으로 높은 비중이다.

 한 지방대 교수는 “작은 대학일수록 취업률에 따라 대학의 운명이 갈린다”며 “취업률이 절대적인 지표처럼 쓰이다 보니 공공연히 조작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취업률이 낮은 대학 32곳에 대해서만 감사를 벌였기 때문에 실제로 취업률을 부풀린 대학들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