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최대의 기대작 : 워크래프트 3 [3]

중앙일보

입력

워크래프트 2까지는 금과 나무가 채취할 수 있는 자원이었다. 하지만 워크래프트 3에서는 새로운 자원이 등장한다. 바로 마나 스톤으로 이들은 금광에서 거의 무제한 캐낼 수 있는 금과 달리 지도위에 있는 NPC들을 죽임으로서 얻을 수 있다. 이 마나 스톤은 새로운 영웅을 창조하거나 불러오기 위해서 필요하며, 또한 영웅들의 업그레이드를 하기위해서도 필요할 것이다. 이 마나 스톤의 쓰임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게임을 시작하면 게이머에게는 약간의 마나스톤이 주어지며, 이 마나스톤으로 영웅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영웅들을 불러 모으기 위해서는 지도위에 배치되어 있는 NPC들과 전투를 치러 마나스톤을 얻어야 한다.

마나스톤을 모으면 영웅을 불러 올 수 있다는 설정에 따른 테스팅 동안에 많은 테스터들이 마나스톤을 모아 새로운 영웅들을 많이 만들어 플레이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 때문에 블리자드는 새롭게 만들어진 영웅의 능력을 낮추고, 이 마나스톤이 영웅들의 능력을 업그레이드하는데에도 사용되도록 수정작업을 하기도 했다. 이렇게 모은 영웅들은 전투중 죽을 수 있으며, 제단에서 다시 부활시킬 수도 있는데, 부활에는 마나 스톤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기존의 영웅들을 다시 살려내서 이용하는 것이 마나 스톤으로 새로운 영웅을 만들어내는 것보다는 효과적이다.

기존의 자원이었던 나무는 이제 더 이상 자원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여전히 농부들을 이용해 나무를 베넬 수 있다. 나무를 베는 목적은 지도위에 새로운 통로를 만들기 위함으로 이렇게 만든 통로를 통해 적의 기지를 배후에서 공격할 수 있다. 또 때로는 금광이나 아이템들이 이 숲속에 숨겨져 있을 수 있다. 농부들은 나무를 베는 것 이외에도 바위를 깰 수 있으므로 이들을 잘 이용해야 한다.

이젠 밤과 낮이 존재한다.

화려해진 그래픽과 풀 3D 엔진, 다양한 유닛 애니메이션과 함께 눈에 띄는 변화중 하나는 시간에 따라 밤과 낮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완벽하게 게임내에 접목된 단계는 아니며, 현재 조절작업중이다. 이렇게 밤과 낮이 교차하는 주기는 약 4-5분정도 걸리는데, 밤이 존재하는 이유는 나이트 엘프 종족과 언데드 종족에 시간에 따른 추가 능력을 주기 위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나이트 엘프 워리어들중에는 밤에 쉐도우 멜트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움직이지 않는한 적의 눈에 띄지 않는다. 화면에서도 이 기능이 사용되는 동안에는 투명한 모습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언데드 종족에게도 밤시간에 얻을 수 있는 보너스능력이 있다.

그럼 이러한 기능이 없는 종족들에게는 무슨 다른 방법이 있을까? NPC인 상인들은 여러 가지 물건들을 판다. 이들 물건중에는 리젠용 반지나 여러 가지 종류의 포션들이 있으며, 데이/나이트 스톤도 판다. 이 데이/나이트 스톤은 시간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나이트 엘프의 마을에 데이 스톤을 사용하면 밤이 끝나고 새벽이 오기 시작한다. 이렇게 하면 나이트 엘프의 쉐도우 멜트 기능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나이트엘프들도 나이트 스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잘 이용해야 한다.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포그 기능은 사용되어 유닛이 있는 주변 지역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게임을 보다 재미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스타크래프트 멀티 플레이어들이 단지 헌터 맵이나 로스트 템플만을 선택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다른 지역들보다 익숙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플레이어들이 새로운 지도에 대해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 블리자드는 이러한 맵의 편식을 막기 위해서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선택할 때 선택한 맵의 모습을 미리 보여주어 맵을 조금이나마 익숙해지도록 도와주고자 했다. 하지만 싱글 플레이의 경우에는 새로운 지역을 탐사하는 재미를 느끼게 하기 위해서 여전히 방문하지 않은 지역은 검은 색으로 지도가 가려진다.

이창재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