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중독 치료 논문으로 박사학위 딴 허근 신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가톨릭 허근 신부는 한때 알코올 중독자였다. 그런 경험을 살려 1999년부터 가톨릭 알코올 사목센터를 이끌고 있다. 허 신부는 최근 효과적인 알코올 중독 치료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땄다. “알코올 중독은 전문가의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병”이라고 강조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가톨릭 서울대교구의 허근(58) 신부. 그는 한때 술병에 갇혔었다. 알코올 중독자였다. 1980년대 초반 해병대 군종신부로 사역하며 술을 가까이 한 게 화근이었다. 술 이기는 장사 없다고, ‘술 좋아하는 화통한 신부’는 차츰 난폭한 술꾼으로 변했다. 술 때문에 미사 집전을 못하고, 신자와 주먹다짐을 벌이기도 했다.

 그가 중독에서 벗어난 건 1998년. 혼자 힘으로 술을 끊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내친 김에 99년부터 가톨릭 알코올 사목센터를 이끌고 있다. 자신의 체험을 녹여 중독자를 치료하는 일이다.

 이달 초 그는 박사가 됐다. 임상실험 결과를 곁들인 논문이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심사를 통과했다.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위한 단기통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평가’. 한 가지 치료법보다 행동치료·음악치료 등 여러 요법을 병행하는 게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내용이다. 만학도, 허 신부를 19일 서울 혜화동 사제관에서 만났다.

 -뒤늦게 박사가 됐다.

 “신자들을 영적으로 이끄는 일은 신학교 7년 공부로 충분하다. 하지만 알코올 중독 치료는 그것만으로는 모자란다. 환자들의 현실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 고민하다 공부를 하게 됐다. 고생 많이 했다. 막판 두 달은 하루 서너 시간씩밖에 못 잤다.”

 -논문 내용을 간추린다면.

 “행동·인지행동·현실·음악·영적치료 등 5가지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는 거다. 중독자는 신체·심리·사회적인 면 등 여러 방면에 걸쳐 피해를 당한다. 때문에 통합 치료를 해야 한다. 행동치료는 일종의 육체 훈련이다. 환자들이 유혹을 이기고 일주일에 두 차례, 센터에 나오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 인지행동 치료는 특정 상황에서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되돌아보게 하는 것이다. 술 취했다고 가정하고 어머니가 자신에게 무슨 말을 할지 상상하도록 한 뒤 상황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게 한다. 음악치료는 개사곡을 부르게 한다. ‘진짜 사나이’를 ‘단주(斷酒) 사나이’로 바꿔 부르는 식이다.”

 -어떻게 실험했나. 효과가 있었나.

 “중독자 4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세 달에 걸쳐 한 쪽만 통합치료를 했다. 세 달 뒤 추적 조사해 보니 치료를 받은 20명 중 17명이 술을 마시지 않고 있었다. 단주의 의지가 확고했고, 음주 욕구, 음주의 원인이 되는 분노도 줄어들었다.”

 -의학계에서는 이런 치료를 안 하나.

 “외국은 90년대부터 입원 치료와 퇴원 후 관리를 연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내가 처음이다. 병원에 입원해 약물 치료를 받는 동안은 사람들이 술을 안 마신다. 하지만 퇴원 하면 쉽게 이전으로 돌아간다. 사후 관리가 안 되서다. 이번에 효과가 확인된 통합치료를 확산시키고 싶다. 치료 전문가들을 불러 교육할 생각이다.”

 -알코올 중독은 나쁜 습관인가, 질병인가.

 “손상되는 뇌 부위에 따라 사고나 운동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가 있다. 우울증을 부르기도 한다. 습관으로 생각하고 끊어라, 해서는 절대로 해결 안 된다. 술을 덜 마시는 절주도 금물이다. 조금이라도 술로 인한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단주를 해야 한다.”

 -한국 사회는 단주가 어렵지 않나.

 “실은 그게 가장 큰 이슈다. 상사가 권할 때 거부하기 어렵다는 직장인이 가장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회식자리 가지 않아도 큰 문제 없다고 교육한다. 어차피 2, 3차 가면 누가 남았었는지 기억도 못한다.”

 -가톨릭은 술에 대해 관대하지 않나.

 “술을 경계하는 구절이 잠언에 특히 많다. 예를 하나 들어본다. ‘애매하게 상처 입고 눈이 출혈된 사람이 누구냐? 술자리를 뜰 줄 모르고 잔에 따른 술 빛깔이 아무리 고와도 결국은 뱀처럼 물고 살무사처럼 쏠 것이다. 눈에는 이상한 것이 보이고 입에는 허튼 소리를 담게 된다(23장 30~33절).’”

◆허근 신부=1954년 경기도 광주 출생. 80년 사제 서품을 받고 81년 김수환 추기경 비서 신부, 82년부터 3년간 해병대 군종 신부를 지냈다. 알코올 중독 증세가 심해져 98년 병원치료를 받은 후 99년부터 가톨릭 알코올 사목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중독 경험을 고백한 『나는 알코올 중독자』(가톨릭출판사) 등의 저서를 냈다.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장 허영엽 신부, 경기도 화정동 성당 허영민 주임 신부와 함께 ‘3형제 신부’로 유명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